Ⅲ. Orem 이론의 개요
1. 이론의 주요 개념 & 정의
2. Orem의 간호 중심 이론
Ⅳ. 자가간호이론의 간호과정 적용
Ⅵ. 간호 메타파라다임의 네 가지 개념
Ⅴ. 이론의 적용 및 평가
1. 이론의 적용
2. 이론의 평가
본문내용
Ⅰ. 도입
■ 오렘의 이론은 임상, 교육, 연구경험을 통한 간호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간호현상을 자기간호개념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 자기간호필요성 및 대상자의 건강상태, 기능에 따른 간호제공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 개인이 자기간호능력을 가지지만 이 능력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양보다 적을 때 채워주고 끌어주는 것이 간호사가 해야 할 일임을 강조하였다
■ Orem 이론은 3가지 관련이론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괄해서 자기간호 결핍이론이라고 부 르는데, 자기간호이론,자기간호 결핍이론, 간호체계이론이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연혁
1914년 : 미국 볼티모어에서 2녀중 막내로 출생
1930년대 초 : 워싱톤의 프로비던스 병원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 받음
1939년~1945년 : 카톨릭 아메리카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 취득
1940년~1949년 : 프로비던스 병원에서 간호과장과 간호학과장으로 일함
1949년~1957년 : 인디애나 주립보건원과 병원에서 근무
1958년~1960년 : 보건, 교육, 복지부서의 교육과정 자문관으로 근무하면서 실무간호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지침을 출판
1959년~1984년 :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에서 간호교육 분야의 교수, 간호대학장으로 일함
1962년 : 간호의 희망(The Hope of Nursing)이라는 논설을 간호 교육 잡지에 발표
1970년 : 쉴즈와 함께 상담소 개설
1971년 : 첫 번째 저서인 [간호:실무의 개념](Nursing: concepts of practice) 발표
1979년 : [간호교육과 실무의 수준](leve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출판
1976년 :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 받음
1980년 : 아메리카 가톨릭 대학교 동창상 수상하였으며 [간호:실무의 개념] 제2판을 출판
1984년 : 은퇴 후에는 저서의 개정과 자기간호결핍 이론의 개념을 위해 계속 연구
참고자료
· 간호이론(2007) 포유편집부 저 포유출판사
· 간호요점(2006) 예하미디어 편집부 저 예하미디어
· 간호이론의 이해(2000) 이소우외 저 수문사
· 간호학이론과 탐구의 입문(2004) 장성옥 저 군자출판사
· 간호와 이론(2000) 조계화, 김명자 저 현문사
· 핵심 간호이론(1999) 은하출판사편집부 저 은하출판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