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두환이 구테타를 일으킨 후 본격적으로 정권을 잡기 위해
1980년 광주사태를 조작하고 언론을 통제했다.
특히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언론을 효과적으로 통제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각종 방법을 동원해 언론을 통제, 탄압하였는데
본 논문은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제 방법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한 것이다.
목차
1.머리말
2.전두환 정권의 언론정책
3.언론 탄압의 방법과 그 특징
3-1.언론인 강제 해직
3-2.언론 통폐합
3-3.언론 기본법
3-4.보도지침
4.머리말
본문내용
이와 같은 <언론학살>은 군부세력의 비정통성을 은폐하고 국민을 쉽게 통치하기 위한 방편으로 자행한 것이다. 독재 정치의 최대의 적인 자유언론을 장악함으로써 권력에 대한 언론의 비판감시행위를 봉쇄하고 더 나아가 언론을 이용하여 대중조작에 동원하기 위한 것이다. 김주언, <80년대 언론탄압>, 『사회비평』, 제2권 제3호, 1~2쪽 재인용
본 논문은 80년대 전두환 신군부 세력의 언론 정책의 방법과 특징을 통해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록되어야 할 한국 언론이 어떤 모습으로 굴절되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2.전두환 정권의 언론정책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후 유신 체제가 붕괴하면서 한국 사회에는 민주화에 대한 열기가 일어났다. 이 가운데 유신 시절 폭압적인 통제에 시달렸던 언론계에서도 언론자유운동의 불길이 번지기 시작했다.
1026 이후 중앙일보경향신문합동통신한국일보 등 4개 사의 기자들은 이 때를 자유언론 확립을 위한 시기로 보고 연대하기로 했다. 각 사의 기자협회 분회를 활성화 시키고 개편하여 기자협회를 활용하여 자유언론 운동을 펼쳐나가기로 한 것이다. 우선 75년 해직된 동아조선 특위의 해직기자들을 복직시키고, 당시 계엄사에서 시행 중이던 언론 검열을 철폐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그것이다.
이와 함께 개편된 기자협회는 그러나 전두환을 <개정헌법의 언론조항에 관한 한국기자협회 시안>을 마련, 국회개헌특위와 정부개헌심의위에 제출했다. 이 시안은 매우 혁신적인 내용은 담고 있는데 국민의 알 권리 보장,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제한 금지, 언론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의 금지, 편집편성의 독립, 언론 활동에 대한 간섭 배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1212쿠테타를 일으켜 실권을 장악함으로써 민주화의 기세를 꺾어버렸다. 이에 야당과 재야, 노동자, 학생 등은 연일 전국적인 대규모 시위를 벌여나갔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에 대해 신군부 세력은 무력을 사용하여 강경 진압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80년 5월 18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이에 반발해 광주에서 민주화 운동이 발생하자 신군부 세력은 5월 27일 계엄군을 투입해 무력으로 진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2천여 명의 민간인이 희생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참고 자료
강만길,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1권, 인물과 사상사, 2003년
송건호외 『한국언론바로보기』, 다섯수레, 2000년
채의석, 『99일간의 진실: 어느 해직기자의 뒤늦은 고백』,개마고원, 2000
김주언, <80년대 언론탄압>, 『사회비평』, 제2권 제3호
한국일보 정치부, 『빼앗긴 서울의 봄: 청와대 실록』, 한국일보사
최창봉강현두, <언론통폐합과 공영방송의 제도화>. 『우리방송 100년』, 현암사,2001,
김삼웅, <전두환 5공시대의 곡필>,『곡필로 본 해방 50년』,한울,1995년
김민남, 김유원, 박지동, 유일상, 임동욱, 정대수,『새로 쓰는 한국언론사』
김진룡,<허문도와 홍보조정실>,『월간중앙』,1988년 12월:
김해식, 『한국언론의 사회학』,나남,
김환표, <권인숙: 세상과 호흡하는 재미있는 여성학자>,
이휘현 외, 『남성의 광기를 잠재운 여성들』인물과 사상사
이상철, 『신문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조맹기, 『한국언론사의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