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자연모사공학 동향
*낙*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자연에 존재하는 생체물질은 오랜 시간 동안 진화 발전되어 온 최적화/고효율화 된 고도의 기능 시스템이므로, 자연모사공학은 그 원리나 메커니즘을
공학적 난제에 적절하게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그 용어가 존재하기 이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행해
져 왔는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와 파리의 에펠탑이다.
이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경우에 자연으로부터
지혜를 빌려와 사용해왔으니 자연모사공학은 그 용어의 정의가 최근일 뿐,
그 내용과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같다고 해도 무방할 듯 싶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동식물에게서 배우는 자연모사공학의 정의와 사례 등을
살펴본다.
목차
동식물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자연모사공학 동향I. 들어가는 말
II. 정의
III. 분류
□ Mark Arye의 분류
1. 구조와 재료
2. 기구와 공정
3. 행동과 제어
4. 감각기관과 의사소통(Sensors and Communication)
5. 세대 간의 모방(Generational Biomimicry)
□ Jenine Benyus의 분류
1. Nature as a model
2. Nature as measure
3. Nature as mentor
IV. 사례
V. 참고하기
본문내용
. 들어가는 말생물물리학 가운데 요즘 와서 특별히 관심을 끌면서 그 연구열을 높여 가는
분야가 있다. 그것은 30억 년이란 길고 긴 진화의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생
물체로부터 인류 생존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과 지혜를 배우려 하는 바이
오마이메틱스(biomimetics) 즉 생체모방공학, 자연모사공학이다.
여러 문헌들에서 Biomimetics, Biomimicry, Nature-inspired engineering
등의 용어들이 사용되면서, 그 내용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가고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생체물질은 오랜 시간 동안 진화 발전되어 온 최적화/고효
율화 된 고도의 기능 시스템이므로, 자연모사공학은 그 원리나 메커니즘을
공학적 난제에 적절하게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그 용어가 존재하기 이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행해
져 왔는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와 파리의 에펠탑이다.
이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경우에 자연으로부터
지혜를 빌려와 사용해왔으니 자연모사공학은 그 용어의 정의가 최근일 뿐,
그 내용과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같다고 해도 무방할 듯 싶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동식물에게서 배우는 자연모사공학의 저의와 사례 등을
살펴본다.
II. 정의
자연모사공학이란, 자연의 생물체 및 생체물질의 기본구조, 원리 및 메커니
즘을 모방 및 응용해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동식물에서 아이디어를 찾는 자연모사공학 동향
3
자연에 존재하는 생체물질은 오랜 시간 동안 진화 발전되어 온 최적화 · 고
효율화 된 고도의 기능 시스템이므로, 자연모사공학은 그 원리나 메커니즘
을 공학적 난제에 적절하게 이용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현재 이와 같은 자연모사공학은 구조와 재료, 기구와 공정, 행동과 제어 분
야 등 여려 연구 분야에 걸쳐 발전하고 있는데, 그 중 활발한 분야가 동물
을 모사한 로봇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이 가지고 있지 못한 동물의 여러 가
지 능력을 모사한 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III. 분류
자연모사공학의 분류는 대표적으로 Mark Arye가 5가지 영역으로 분류한 방
법과 Jenine Benyus가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한 방법이 있는데, 자연모사공학
의 범위를 다소 다르게 보고 있고, 세부 분류의 유무가 달라, 두 가지 분류
를 모두 소개하겠다.
참고 자료
1. 한국기계연구원 웹진2. 한국일보. 과학의 자연 베끼기 `모사공학` 어디까지 왔나, 2006. 09. 25
3. 부산일보, 자연으로 돌아가라 갖고싶은 기술있다, 2006. 12.13
4. 김완두, 자연모사공학-생체모방, 기계저널 , vol.26 , no.4, 2006 ,
pp.34 - 37
5. 김완두,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 vol.12 , 2006 ,
pp.108 - 115
6. 윤실, 바이오마이메틱스(생체모방공학) 전3권
7. 리츠네스키(이창준 역), 생물들의 신비한 초능력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생체모방기술(바이오미메틱스)의 현재 22페이지
[생명공학] 생물체의 지혜를 모방한 신기술 바이오마이메틱스 10페이지
[레포트] 이기는 습관 - 동사형(動詞形) 조직 9페이지
[생체모방공학] 홍합접착단백질 23페이지
자연모사공학. 게코도마뱀과 홍합의 만남 - 게켈(Geckel).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