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불교의 중흥조 보조국사 지눌에 관하여

*건*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7.12.27
최종 저작일
2007.12
1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오늘날 한국불교를 있게한 보조국사 지눌에 대해 자세히 기술한 레포트.
지눌스님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정혜결사운동을 통해 한국불교의 중흥조인
보조국사의 면면을 소상히 살펴보고 아울러 저서인 보조법어 정리를 통해 그의 불교관을 다시한번 살펴본 글. 목차를 참조해주세요.

목차

Ⅰ.보조국사 지눌의 생애
Ⅱ.보조국사 지눌의 사상
Ⅲ.정혜결사(定慧結社)운동
Ⅳ.보조법어 정리

본문내용

Ⅰ. 지눌스님의 생애
지금으로부터 약 840년 전인 고려 중엽 제18대 의종 12년(1158) 황해도 서흥군에서 당시 국학(國學-지금의 대학 및 대학원과 같은 기관으로 신라 및 고려에서 쓰던 이름. 조선시대의 성균관)의 학정(學正-국학 및 성균관 안에서 종사하는 정 8품의 벼슬)인 정광우를 아버지로..
1. 상도보제사(上都普濟寺)에서 담선법회(談禪法會) 후 정혜결사(定慧結社) 결의
25세(1182)에 당시 출세의 관문이기도 한 승과(僧科)에 합격하였다. 이 때 스님은 생의 일대 전환을 결심하기에 이른다. 즉 명리를 떠나 산림에 은둔하여 정(定)과 혜(慧)를 닦는 이른바 정혜결사(定慧結社)를..
3. 예천 하가산(下柯山) 보문사에서 3년 동안 대장경을 열람
그 후 스님은 28세(1185)되던 해 예천 하가산 보문사에서 3년 동안 대장경을 열람하게 된다. 선승으로서 교학의 총서인 대장경을 열람하게 된 동기는 매우 특이하다. 당시는 참선을 주로 하는 선종과..
6. 위대한 열반
그 후 스님은 희종 6년(1210) 2월에 재(齋)를 베풀어 어머니를 천도하였으며, 그 해 3월 20일에 미질 (微疾)을 보이시더니, 27일에 이르러 목욕하고 새옷으로 갈아입으시고, 법고를 울려 대중을 모이게 하였다. 그리고 향을 사루고 예불한 뒤에 법상에 오르시어 평일처럼..
Ⅱ. 지눌스님의 사상
지눌스님은 수심(修心)에 투철할 것을 강조한다. 마음 닦는 일을 통해 정법이 구현되고 선·교간의 갈등도 해소될 수 있으며, 중생의 온갖 시비도 이 수심으로 인해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수심의 근거는 이 마음이 곧 부처라는 데에 있다. 『수심결(修心訣)』에서 이와 같이 말하고..
Ⅲ. 정혜결사(定慧結社)운동
정혜결사는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근수(勤修)하는 결사(結社)이다. 정혜결사는 첫째 당시에 극히 속화되고 미신화 된 `호국기복불교` `우상불교`에서 현실적으로 안심입명(安心立命)하고 구세제중(救世濟衆)하는 `정법불교`의 복귀운동이며, 둘째 명리(名利)의 도구화된 `형식 불교, `가면불교`에서 진실한 출세간의 길을 밟아 성불도생(成佛度生)의 사명을..

참고 자료

1.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에 나타난 보조선사상의 고찰>, 고희숙, 『보조사상』 제 8집
2. <진심직설(眞心直說)의 체계와 사상>, 강건기, 『보조사상 제 15집(2001, 2)』
3. <普照國師 知訥의 『圓頓成佛論』詳釋> , 심재룡, 『보조사상 제13집』
4. <看話決疑論의 華嚴敎學 批判>, 인경, 『보조사상 제15집』

자료후기(1)

*건*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워드파일 불교와 인간 불교 종파에 관한 고찰 에세이 보고서 작성 5페이지
    예시로, 보조국사 지눌의 조계종과 태고 보우의 태고종이 있다. ... 셋째, 같은 소의경전과 수행법을 공유하지만 중흥조 즉, 조상을 누구로 보느냐에 ... 한국 불교 종파의 역사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대한민국불교에서는
  • 한글파일 [불교] 불교의 성립과 전개에 관하여(A+) 4페이지
    고려후기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7-1210)의 출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 < [불교] 불교의 성립과 전개에 관하여 > 1. 불교란? ... 중국인들이 원효산(禪門九山) 개산 이래 한국불교는 다분히 선종 (禪宗,
  • 한글파일 [한국불교] 한국불교 11페이지
    고려후기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7-1210)의 출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 조선의 고승들중 의심(義諶, 1592∼1665)은 교학중흥의 조(祖)로서 ... 한국불교 ♧시대별로 살펴본 한국불교 한국불교 한국불교는 인도나 중국불교
  • 한글파일 [한국철학] 한국 불교의 특징 4페이지
    보조국사 지눌이 조계종을 개창했는가 하는 것은 오늘 날은 논란이 많은 문제이지만 ... )한국 불교의 특징은 비롯되고 있으며,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지눌의 ... 조선중기 불교중흥의 주역이었던 휴정(休廷)과 유정(惟政)이 배출된 것은 획기적인
  • 한글파일 [한국문화사] 고려시대의 종교 9페이지
    선교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조계종을 중흥시킨 승려가 보조국사 지눌( ... 신라 승려들의 불교 교학에 관한 저술은 여러 방면에 걸쳐 있을 뿐만 아니라 ... 불교 교학에 관한 많은 저술을 남긴 승려들 가운데 대표적인 저술가로는 원효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불교의 중흥조 보조국사 지눌에 관하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