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미지이론에 관한 논문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를 분석하고 이미지 이론에 관하여 논하였습니다.목차
Ⅰ. 서론Ⅰ-1. 연구 목적
Ⅰ-2. 연구 방법
Ⅱ. 이미지란 무엇인가
Ⅱ-1. 운동-이미지
Ⅱ-2. 운동=이미지
Ⅱ-3. 물질=이미지
Ⅲ.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
( : 시간에 대한 간접적인 이미지와 직접적인 시간-이미지)
Ⅲ-1. 운동의 세 단계
Ⅲ-2. 시간에 대한 간접적인 이미지와 직접적인 시간-이미지
Ⅲ-3. 운동-이미지로부터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Ⅲ-4. 시간-이미지의 특징
Ⅳ. 영화 「늦봄」을 통해 살펴 본 시간-이미지
Ⅴ. 문제의 세계로 인도하는 영화
Ⅴ-1. 영화 「쇼아」에서의 시간-이미지 고찰
Ⅴ-2. 이미지이론을 통해 살펴본 「박하사탕」
Ⅴ-3.「박하사탕」에서 사용한 과거회상기법에서의 한계점
Ⅵ. 결론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3. 운동-이미지로부터 시간-이미지로의 이행영화에서 운동-이미지로부터 시간-이미지로의 이행을 특징짓는 역전은 다음의 다섯 가지 요인들을 포함하는 영화의 실제 위기에 따라 발생한다.
첫 번째, 포괄적인 상황의 사라짐, 등장인물들 사이의 갈등 상실, 주요 등장인물 즉 ‘주인공’의 부재. 이는 영화에 통일성을 제공해 주고 감각-운동 도식 들뢰즈가 ‘감각-운동 도식’이라고 부르는 것은 운동-이미지를 특징짓는다. 이는 하나의 지각 이후에 운동적인 반작용이 뒤따르고, 이 둘 사이의 간격(뇌)이 나를 움직이게 한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내가 하나의 이미지를 지각할 때, 나의 몸은 운동적 반작용을 통해 이 지각에 응답한다. 감각-운동 도식은 물질을 지시하기 위한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위의 책 p.20)
을 물질화하는 전통적인 몽타주의 죽음의 토대가 된다.
두 번째, ‘우주의 선’의 상실, 공간은 더 이상 사건들이 서로서로 안에서 이어지는 장소이기를 멈추며, 통일성을 상실하고 연결되기 힘든 부분들로 나누어진다. 이제부터 사건들은 오로지 우연일 뿐이어야만 하고, 더 이상은 그 무엇도 사건들을 전체로 포착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하여 “생략은 이야기의 방식이기를, 어떤 행위가 부분적으로 드러난 어떤 상황으로 이어지는 방식이기를 멈춘다. 원래 생략이란 사건 자체에 속해 있는 것이며, 현실은 분산적이고 공백이 있는 것이다.”(L`I-M p.279)
세 번째, 어슬렁거리기의 출현. 어슬렁거리기는 임의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 행동-이미지 운동-이미지에는 지각-이미지, 정감-이미지, 행동-이미지의 변이태가 있다. 이미지는 지각이고, 지각은 간격이며 반작용이다. 지각은 간격의 첫 번째 측면에 관계되고 행동은 간격의 두 번째 측면에 관계한다.(위의 책, p25)
의 상실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등장인물들은 자신들에게 닥친 것에 반응하지 않은 채 떠돌아다닌다. ex) 빔 벤더스의 영화들
참고 자료
1. 예술 형식의 상호 매체성, 피종호, 독어독문학회, 20002. 모더니즘의 영상미학, 피종호, 한국카프카학회, 1999
3. 영화 이미지 이론, 박성수 지음, 문화 과학사 출판, 2001
4. 영화의 이론, 벨라 발라즈, 동문선 출판, 2003
5. 의미의 논리, 질 들뢰즈 지음, 이정우 역, 철학 아카데미 출판, 2003
6. 들뢰즈:철학과 영화, 쉬잔 엠 드 라코트, 이지영 역, 열화당 출판, 2005
7. 뇌는 스크린이다. 들뢰즈와 영화 철학, 그레고리 플랙스먼, 이소출판, 2003
8. 디지털 영화의 미학, 박성수, 문화과학사, 2001
9. Deleuze on Cinema, Trans. Ronald Bogue, 동문선 출판, 2006
10. Gilles Deleuze`s Time Machine, David N. Rodowick, Duke Univ. press, 1997
11. Jacques Aumont op, cit, 1992
12. Gilles Deleuze, Cinema 1:The Movement-Image, trans. Hugh Tomlinson, Univ. Minnesota Press, 2001
13. Gilles Deleuze, Cinema 2:The Time-Image, trans. Hugh Tomlinson, Univ. Minnesota Pres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