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소설의 이본을 활용하여 이를 문화콘텐츠 개발의 주요 소재로 쓸 수 있다는 생각아래
쓰여진 졸업 논문입니다.
목차
제Ⅰ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제Ⅱ장 ‘춘향전’이본의 양상
제1절 이본 생성원리
제2절 춘향전 이본의 변모 양상
1) 인물
2) 주제
제Ⅲ장 이본의 활용한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제
제1절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특징
1) 하이퍼텍스트 문학에 대한 정의
2)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특징
제2절 ‘춘향전’이본을 활용한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제
1) 이본에 나타난 인물들의 성격의 활용
2) 주제 측면에서의 활용
3) 춘향이야기의 하이퍼텍스트 모형의 예
제Ⅳ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Ⅰ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디지털 시대 즉 현대생활에서 문화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단순한 감상 위주의 문화소비에서 벗어나 직접 참여하고 향유하는 적극적인 문화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와 문화의 콘텐츠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때, 문화콘텐츠 개발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문화원형을 찾아가는 작업들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고전 소설의 이본을 하이퍼텍스트 문학에 접목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소재로서의 활용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전 소설의 이본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다양성이라고 판단되는데, 이런 다양성은 하나의 관점이 아닌 다수의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다수의 관점은 다양한 생각과 사건을 만들 수 있는 콘텐츠로 활용 가능하다고 본다. 하이퍼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다매체성의 특징을 이러한 다양성과의 결합으로 이끌 수 있다면 익숙한 소재에서 느낄 수 없는 신선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목적 아래 하이퍼텍스트를 정의해 보고 특성을 살펴보면서 하이퍼텍스트 문학이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 고전소설인 ‘춘향전’을 통해 이본의 생성원리를 파악해 보고, ‘춘향전’의 등장인물들의 성격의 변화와 주제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의견들을 종합해 보아 하이퍼텍스트 문학으로의 결합을 실행해 보려 한다.
참고 자료
고양숙,「춘향전의 현대적 수용과 문학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김석배,「춘향전 이본 생성과 변모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3.
김수연,「완판본 춘향전의 인물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9.
김홍규,「판소리의 서사적 구조」,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박명희,「춘향전에 나타난 사랑의 구현 형태」,『이화어문논집』 제 5집, 이화어문학회.
박희병,「춘향전의 역사적 성격분석」,『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춘향문화선양회, 1996.
우선아,「하이퍼텍스트의 문학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5.
정형철,「하이퍼텍스트 픽션에 관한 연구」,『영미어문학 제 39집』.
설성경 엮음,『춘향전』, 시인사, 1986.
설성경,『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송신섭,「춘향전 전승의 변모에 관한 연구」,전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2.
신정순,「춘향과 신분상승 의지」, 『국어교육논지』15, 대구교대, 1989.
이문규,「춘향전 신고」, 『인문과학』 제 3집 서울 시립대, 인문과학연구소, 1996.
이상택,「춘향전 연구 - 춘향의 성격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우선아,「하이퍼텍스트의 문학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연세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5.
이배근,「춘향의 성격 연구」,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장성원,「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갈등양상 연구」, 강릉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정형철,「시를 죽여라?」,『문학수첩』,2004년 겨울.
정형철,「하이퍼픽션이란 무엇인가」,『오늘의 문예비평』,1997년 가을호.
조동일,「春香傳 주제의 새로운 고찰(考察)」, 『우리 문학과의 만남』, 弘盛社, 1978.
최혜실,『디지털 시대의 문화 읽기』, 소명출판, 2001.
김동근의 팀즈 사이트 <http://www.term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