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어과 교육론 시간에 제출한 레포트입니다. 장황하게 사족과 같은 언급은 피하고,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위상과 그 필요성에 대해서 나온 것들만 체계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과제평가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았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학교교육에서의 문법교육
3. 그 문제점과 해결책
□ 참고 문헌
□ 탐구 문제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주지하다시피, 국어교육이라고 하면 크게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학, 문법 등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영역 가운데서, 특히 문법 영역은 국어 자체에 대해서 탐구하고 가꾸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영역들과 차이를 가진다. 즉 문법을 제외한 여타의 영역들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학 등은 국어를 매개체로 사용하는 응용 영역들이지만, 문법은 국어 자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가장 기본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법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불과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문법 영역은 중요시되어 왔으나 그 이후에는 학교 현장에서, 국어교사에게서, 학생에게서 경시되고 그러한 분위기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나 또한 그랬고, 현재 대부분의 학생들이 국어교과에서 문법교육을 싫어하고 꺼려한다.
여기서는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의 파악을 통해 학생들이 문법교육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현재의 문법교육의 위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제시하겠다.
2. 학교교육에서의 문법교육
앞서 언급했듯이, 국어교육에서는 국어과의 영역을 크게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문법), 문학 여섯으로 나누고 있다. 이를 단순히 생각하면, 언어(문법) 영역은 국어과에서 1/6, 즉 16.7%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여섯 영역은 모두 똑같은 위상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예컨대, 문학 영역은 현대 문학, 고전 문학으로 나뉘어 전통적으로 매우 강조되어 왔음에 비하여, 듣기 같은 영역은 연구의 양과 질에서 아직 미미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박영목, ‘국어과 교육과정의 새로운 방향’, 2005, 국어교육학회 특집 :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
이관규, ‘학교 문법 교육의 현황’, 새국어생활 10,2(2000.6) pp.47-61
민현식, ‘문법 교육의 반성과 교과서 개발의 방향’, 200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박영목외 (2004), 국어교육학 원론,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