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구 사용과의 관계설 - 중국 건국전설에서 복희씨는 목축을, 신농씨는 농업을 발명하였다. 목축과 농업은 원시사회에서 최고의 산업 활동이었다. 이것은 의약의 기원이 인류의 생산활동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설명한 것이다. 또한 불의 발명은 농업 생산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또한 팽조술(음식을 삶아서 요리하는 방법)이 진보하게 되어 탕액이 출현하였다. 이상의 전설에서 비록 구체적인 인물과 사실들을 모두 믿을 수는 없지만 대체적으로 인류의 생활 수단의 진보 과정과 의학지식의 획득과의 관계를 잘 반영해 주고 있다.
2. 의학이 무술에서 기원했다는 설 - 기원전 18~12세기까지는 무의가 성행하였다. 그러므로 의학은 무의의 계승을 받아 발달된 정신의와 일반적으로 육체의 질병을 다스리는 약물의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의는 인체 내에서 병마를 일으키는 악마를 내쫓기 위하여 무술자가 시나 수와 같은 무기를 사용한다는 뜻이었으나, 후세에 무가 유로 변한 것은 의술이 이미 무를 떠나 유 즉 술 혹은 전즙(끓여서 진하게 달인 물) 등 약액을 쓰는 의사의 손에 들어간 것을 의미한다.
3. 성인이 의학을 창립했다는 설 - 의학은 하늘이 내려 준 성인이 창제하였다는 주장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책인 [역경]의 괘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복희, 여러 가지 약초의 효능을 밝히고 한약의 치료법을 처음 만들어 놓아 본초학의 기본서이기도 한 [신농본초경]을 저술한 신농, 그 밖에 전설적 인물인 황제와 그의 신하인 기백 등 성인에 의하여 의학이 창제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중의학 관련 서적
1. 황제내경 - 황제는 기원전 2600년경 의학교과서인 내경을 만들고 중국의 의학을 확립했다. 황제내경은 황제와 그 신하들의 문답형식으로 전개되는데 고대의 의서 21종을 참고로 하여 편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내용은 음양오행, 장상(臟象), 경락(經絡), 병인(病因), 병증(病證), 진단, 치료, 침구(鍼灸), 오운육기(五雲六氣)등 8가지를 담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