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술의 발전 단계 및 현황
1.1나노바이오기술이란?
1.2 나노물질의 특징
1.3 나노 가공 기술
1.4 나노기술 접근 방법 및 발전 그리고 현황
2. 응용예(4가지)
2.1 나노바이오센서, 바이오칩 분야
2.2 랩온어칩, 바이오유체소자 분야
2.3 지능형 약물전달 시스템 분야 (intelligent drug delivery system)
2.4 나노의학 (nanomedicine) 분야
3. 당면과제 및 향후 전망
3.1당면과제
3.2 전망
본문내용
1. 기술의 발전 단계 및 현황
1.1나노바이오기술이란?
-1나노미터는 m이며, 원자 또는 전자들이 가지고 있는 크기.
-바이오,화학,물리학 및 체계공학 지식이 총동원되어 바이오칩,분타모터,나노결정,나노바이오물질 등을 만드는 기술을 총칭.
1.2 나노물질의 특징
-광학적 특성: 물질의 크기에 따라 색깔이 변함
-화학적 특성: 작게 쪼개지면 표면적이 커지게 됨.
-기계적 특성: 단위 면적당 입계가 많을수록 강한 기계적 성질을 갖게 됨.
-전자기적 특성: 나노입자들은 10-100nm에서 자기적인 성질이 최대가 됨.
1.3 나노 가공 기술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의 약자로, 반도체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에서 mm 스케일의 초소형 정밀기계 제작기술.
-NEMS: MEMS와 유사한 공정을 바탕으로한 나노스케일의 제작기술.
1.4 나노기술 접근 방법 및 발전 그리고 현황
1.4.1 나노기술 접근 방법
-Top-Down: 바이러스의 껍질을 벗겨서 캡시드(capsid:바이러스의 핵산을 싸고 있는 단백질)를 분리해 내는 것과 같이 어떤 복합물질을 쪼개서 그 물질을 얻는 방법.
ex)리소그라피(반도체 집적회로 만드는 기술 x선이나 전자빔 이용): 반도체의 크기가 15년마다 정도로 작아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현재는 회로폭이 30nm가 한계.
-Bottom-up: 나노물질을 제조하는 기본으로서 이는 각 분자들의 구성 원소들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특성 등 화학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해야만 가능한 방법.
ex)자기조직화: 나노 구조를 같은 모양으로 대량생산 가능성을 보여줌,
탄소나노 튜브 디스플레이, 단전자트랜지스터, 나노약품전달시스템 등의 기술
1.4.2 나노기술의 발전
-나노과학과 생물학이 만나서 자연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특성을 모방하여 여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발전 이룩함.
ex)삼차원 생체조직용 나노섬유의 합성,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의 나노튜브와 나선형 리본의 조립, 생체용 마이크로 렌즈의 창생, DNA 기판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의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음.
참고자료
· -“나노바이오, 미래를 여는 기술”, 리처드 존스 지음 ; 김태억 옮김, 30-55page
· -http://www.snupml.re.kr/kor/research/area/experiment.htm#
· -http://blog.naver.com/pilest?Redirect=Log&logNo=100007049658
· -http://blog.naver.com/pilest?Redirect=Log&logNo=100007049658
· -강의자료, 나노공학기술과 미래사회, 홍현필 교수님, 1-2page
· -http://blog.naver.com/nanomate?Redirect=Log&logNo=11001522337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