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매체 그리고 성
- 최초 등록일
- 2007.12.16
- 최종 저작일
- 2007.05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본 연구는 문화학 연구자료들을 참고하여 기억과 매체 그리고 성과 젠더 개념이 현대 문화에서 어떠한 자리를 매김하고 있는지에 관한 개괄적인 내용을 논의하고 있다. 각각의 개념들의 정의를 내리고 예시로 이용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하며, 세 가지 소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대주제를 설정해본다.
목차
Ⅰ. 들어가며3
Ⅱ. 기억3
1. 기억이란 - 기억의 정의3
2. 기술과 활력으로서의 기억4
3. 회상과 기억5
4. 기억과 망각6
5. 추모의 세속화 - 기억, 송덕(頌德), 역사7
6. 문화적 기억의 위기에 대한 검토8
7. 기억과 문화학과의 연관성9
Ⅲ. 매체10
1. 매체와 문화의 개념10
2. 마샬 맥루한과 그의 이론11
3. 맥루한의 이론과 관한 사례 수집14
4. 검토15
Ⅳ. 성과 육체18
1. 논의의 배경18
2. 성차별의 기원18
3. 성차별의 예19
4. 성과 젠더의 구분 (성차별의 극복과정)20
5. 성과 젠더 분리의 예23
Ⅴ. 맺으며25
Ⅵ. 참고문헌27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문화학이란 학문은 국내에서 그리 알려지지 않은 학문이다. 또한 아직까지 그 범위와 한계가 명확히 규정된 것이 없는 학문이다. 우리 조에서 연구한 주제는 문화학의 기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기억, 매체, 그리고 성 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현대 사회에서 점차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다. 성은 중세시대 이후로 줄곧 대중들의 관심을 받고 있었으며 매체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요즘 그 효과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성이라는 주제가 언제나 대중들에게 관심거리라는 단적인 예로 문화학 수업 첫 시간에 『불을 찾아서』라는 영화를 보고 학생들이 쓴 리포트를 들 수 있다.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 영화를 보고나서 성과 관련지어 생각했음을 리포트 내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매체는 날로 발전해 가는 과학기술에 힘입어 과거 매체 하면 신문이나 TV, 라디오 등을 떠올리는 것에서 이제는 인터넷이나 PDA등의 최첨단 기기들을 더 추가해서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여러 학자들의 노력으로 우리가 입고 있는 옷도 일련의 매체로써 작용한다는 의견이 사회적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억은 새롭게 부상되고 있는 문화학의 개념인데 이것은 망각이라는 개념과 더불어 현재 여러분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한데 묶어서 생각할 수도 있으며 그것은 일련의 메커니즘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제 문화학의 세 가지 기본개념 - 기억, 매체, 성에 대해 각각 알아보고 이것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기억
1. 기억이란 - 기억의 정의
① 기억(記憶)[명사][하다형 타동사][되다형 자동사] 지난 일을 잊지 않고 외워둠, 또는 그 내용. ¶기억이 나지 않다./기억을 더듬다.
② 과거의 경험을 인간의 정신 속에 간직하고 되살리는 것.
③ 영어 memory; mind; memorization; remembrance; recollection(회상)
일본어 記憶きおく
라틴어 memini
불어로는 mémoire(메무아흐) / souvenir(수브니흐)
이탈리아어로는 memoria
독일어 Erinnerung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