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의 개론
2. 지열원(Hydrothermal Resources)
3. 지열의 이용
4. 장점과 한계점
5. 지열에너지의 미래
본문내용
1.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의 개론
1) 정의 : 「geo」라는 지구와 「thermal」이라는 열의 의미를 갖는 어원으로 지구의 열을 의미1)
2) 지구과학적 접근
- 지구 탄생 이래 지구의 내부에서 발생, 축적된 열에너지.2)
- 고온의 마그마는 주위의 지하수에 열을 전달하여 고온증기나 물의 형태로 온천과 간헐온천(geyser)등의 지역 표면에 나타나게 함.1)
- 지각열유량(지구 내부에서 유출하는 열량)에 의해 지구 전표면에서 방출되고 있는 열에너지는 연간 약 10erg, 즉 지진이나 화산 에너지의 수십 배의 크기.2)
2) 지구의 압력으로 가압된 해수 또는 소금물
- 지구의 압력으로 가압된 지열원은 고압하의 깊고 넓은 대수층에서 발견되는 메탄이 포화된 고온 소금물로 구성.1)
- 지열원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에너지의 3가지 형태는 열에너지, 고압의 수력에너지, 용해된 메탄가스의 연소로부터 얻는 화학에너지.1)
3) 고온건조암
- 지열액체원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가열 지질층으로 물을 함유하지 않으며, 물을 표면으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갈라진 틈이 존재하지 않음. 가상적으로 제한 없음.1)
4) 마그마
- 가장 큰 지열원. 3~10km 또는 더 깊은 곳에서 발견되는 용융암이므로 사용하기 어려움.1)
3. 지열의 이용
1) 직접이용
- 저온 또는 중온수(20~150℃)의 지열원은 주거용, 산업용, 상업용도로 직접 열을 공급.1)
- 구성 시스템 : 지하에 존재하거나 지하에서 데워진 뜨거운 물을 지표면으로 뽑아 올리는 열 공급장치, 열을 공간 또는 과정에 전달하는 기계장치, 그리고 사용되고 나온 냉각된 물을 내보내는 장치로 구성.2)
- 주요 사용처 : 지역 및 공간 난방, 온실, 양어장, 산업용과 상업용(수영장, 온천 등)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