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려가요와 경기체가를 구별되는 장르로 설정하고 그의 쟁점이 되는 각각의 일반적인 개념과 특징, 형식, 작가층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는 글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가요
2. 경기체가
3.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2)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Ⅲ. 결론
본문내용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Ⅰ. 서론
고려시대에 주로 불리어진 우리말 노래면서 문학적으로 가장 아름다운 노래라 일컬어지기도 할 정도로 당시 사람들의 삶의 애환과 사랑, 이별의 아쉬움이 진솔하게 담겨져 있는 고려가요는 국문학사상 소중한 자료임에는 틀림없다. 이러한 고려가요에 관한 기존 연구의 주요 논점들은 대략 자료 정리 및 해독, 명칭, 장르, 발생, 형태, 작자· 창작시기· 향유계층 등으로 나뉘는데 그 중 장르에 대한 논의는 명칭에 대한 논의와 맞물려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분류를 할 것인가 하나로 통합하여 고려속요로 칭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학자들 간의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논점과 아울러 고려가요와 경기체가를 구별되는 장르로 설정하고 그의 쟁점이 되는 각각의 일반적인 개념과 특징, 형식, 작가층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보기로 하자.
Ⅱ. 본론
1. 고려가요
향가가 쇠퇴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크게 유행한 갈래로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인 속요이다. 고려가요, 장가(長歌), 별곡, 속악가사, 속요, 여요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고려시대에 창작 가창된 우리말 가사로서 독립장르인 향가· 경기체가· 시조· 가사를 제외한 작품으로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고려가요는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며, 오랜 시일 전승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향가가 쇠퇴한 후 고려의 시가는 사실상 그것을 담을 그릇을 잃어 정상적인 발전을 하지 못하다가 다만 입에서 입으로 부르던 속요만이 향가의 뒤를 이었다고 본다.
참고 자료
※ 참고문헌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
국어국문학회 편, 《고려가요·악장연구》, 태학사, 1997
김명준,《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2004
박경주, 《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下》 <고려중기 지식층문화에 대한 대안문학으로서 경기체가>, 월인, 2003
인권한 외, 《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下》, 월인, 2003
전규태, 《한국시가연구》, 고려원, 1986
조동일, 《국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고려가요의 갈래 시비〉, 새문사. 198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김동임, 「경기체가 연구 : 향유방식과 형식변화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