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어국문학-문학사 리포트
국어교육 관련 리포트, 7차 교과서
1910년대 문학 정리
김억, 황지우, 주요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서문예신보
2. 김억, 황석우, 주요한
2.1 김억
2.2 황석우
2.3 주요한
Ⅲ. 결론
1. 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1.1 현행 7차 교과서 수록 상황
1.2 교과서 학습목표 및 학습 활동
2. 정리 및 제안
3. 작품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1910년 말부터의 시에 대하여 한국시의 본격적이라는 말을 쓴다. 한국 근대시는 일제하의 억압된 상황에서 본격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1910년 후반에는 일제의 한반도 통치가 강화되었다. 경제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생명선인 농토와 그 자원, 경제력을 수탈하는데 박차를 가했다. 이와 더불어 일제는 금융․무역의 이권도 챙겨갔다. 그래서 우리는 한국 근대시의 형성, 전개에 토양 구실을 한 1910년대 말과 20년대 전반기의 각박한 현실을 짐작할 수 있다.
‘3․1 독립운동’의 결과 일제는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한국의 식민지 경영방식을 바꾸어 통치하게 이르렀다. 부분적이나마 언론과 출판의 자유가 허용되는 등 완화된 지배 정책으로 우리말로 된 문학 작품을 발표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었다. 그리하여 그 이전보다 활발한 문화, 예술 및 교육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시들은 대체로 미학적으로는 유미주의를, 정서적으로는 퇴폐주의를, 이념적으로는 허무주의를 지향하였는데 3.1독립운동의 실패와 그로 인한 민족적 좌절감에서 오는 경향이었다.
Ⅱ. 본론
1. 태서문예신보
「태서문예신보」의 창간호는 1918년 9월 26일에 나왔다. 서구의 새로운 문예를 직접 도입하고자 창간된 「태서문예신보」는 시부문에서만은 주목할 만한 공헌을 해 주었다.
번역시뿐만 아니라 창작시에 있어서도 육당의 창가와 시에서 탈피하여 진정한 서정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으며 작품만이 아니라 1서구시단 사조의 소개와 아울러 최초의 시론다운 것도 발표되었다. 여기서 「태서문예신보」가 지닌 시지적(詩誌的) 성격을 알 수 있다.
근대시 형성기에서의 「태서문예신보」가 기여한 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들의 시의식은 그 이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근대적인 자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투르게네프, 롱펠로우, 솔로굽 같은 시인론, 프랑스 상징파의 시와 사조 등 해외의 시와 시론이 활발히 도입되었다. 김억이 도입한 대상은 근대시의 정통에 속하는 것이었다
참고 자료
김용직, 『한국 근대시사(상)』, 학연사 , 1986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7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하)』, 창작과비평사, 2004
양왕용, 『한국근대시연구』, 삼영사, 1982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2005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4
강황구 외, 『문학(상)』, 상문연구사
구인환 외, 『문학(하)』, 교학사
김병국 외, 『문학(하)』, 케이스
박경신 외, 『문학(하)』, 금성출판사
박호영 외, 『문학(하)』,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