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공통과학 연합전공 현대과학과 생활 전필과목입니다.
2006년 1학기 강좌입니다.
목차
1. 서론
나노 기술의 활용
2. 본론
논문의 개요
논문의 본문
논문의 그 의미
더 생각해보기: DDS, 핀포인트 시스템
3. 토론주제
본문내용
1. 서론
쾌적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질병의 치료기술이 필요하다.
나노 기술을 이용한 신약개발은 질병의 치료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1. 서론
나노 기술을 응용한 Drug Discovery의 논문 -> 우리나라 사례는 없는가?
2005.7.2 YTN 뉴스보도
살아있는 세포에서 분자 간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자성 나노프로브 기술
Science 2005.7 Kaist 김태국 교수팀
(A magnetic nanoprobe technology for detecting molecular interactions in live cells)`
2. 논문의 개요
다양한 단백질이 있는 세포
자성체를 입힌 신약후보물질
질병표적 단백질
N
S
2.논문 본문- 실험방법
철에 코팅을 한 50나노미터 크기의 자성체와 신약 후보물질을 합성한 뒤 세포 안에 넣고, 세포 안의 특정 단백질에 형광물질(EGFP)을 붙여 이들이 결합하는 것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식
2.논문 본문
형광물질을 자석으로 확인하는 그림
자석의 힘을 강하게 작용하였을 때
+M .F자성체(형광물질을 바른 단백질. 그림에서는 빨간색)
자석에 붙어서 빨간색으로 발현.
2. 논문 본문
실제 세포내에 미지의 신약물질이 어떤 단백질과 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
2.논문이 갖는 의미
세포 안의 특정 단백질을
추출해 세포 밖에서
신약 후보물질과의 반응을
확인한 뒤 세포에 주입해
효과를 확인한다.
-> 확인이 여전히 어려움
->다른 단백질 결합하여 독성
->한번에 힘듬 반복실험
->하버드대도 2년기간
다양한 약물의 표적분자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사람 세포 내의 물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고 유익한 물질로
재프로그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세포 안에서 계속 변화하는
생체대사 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측
->1주일 정도 기간
참고자료
· 1)국민일보 기사: magic 기술에 대한 소개
· http://www.kmib.co.kr/html/kmview/2005/0701/091985014311110000.html
· 2)나노테크놀로지란 무엇인가 (저자: 가와이 도모지, 출판: 북스힐)
· 3)매일신문 기사: 나노기술에 대한 부정적 시각 소개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0908&yy=2005
· 4)네이버 블로그: 형광단백질 GFP를 소개
· http://blog.naver.com/pilest?Redirect=Log&logNo=10000601265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