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복군의 활동과 평가(이청천의 생애)
- 최초 등록일
- 2007.12.02
- 최종 저작일
- 2007.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머리말
2.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의 창설과 임무
3. 군사활동
① 초모활동(招募活動)
② 한국청년전지공작대와 조선의용대의 편입
③ 교육과 훈련, 선전활동
④ 연합군과의 공동작전
4. 해방 후 활동
5. 요약 및 평가
# 별첨. 이청천 장군의 생애와 업적
① 해방 전 무장투쟁
② 해방 후 대동청년단에서의 활동
본문내용
1. 머리말
중일전쟁(中日戰爭)이 점차 격화되어 가고 있을 때인 1939년 전후의 국제정세는 독․이 군사동맹에 이어 독일과 소련이 상호 불가침조약을 체결하고도 쌍방이 폴란드 침공을 개시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등 날로 그 정세가 급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국제정세와 주변정세의 변화는 우리민족의 독립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할 수 있는 기회였고, 또한 우리의 주체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하는 군사조직이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한 때였기 때문에 김구를 창설위원장, 이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이 조직되었다. 해방을 위해서는 일본과 결전을 벌이는 길이 최선이며, 국제 정세도 일본과 전쟁할 시기가 임박하였음을 시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광복군의 창설은 우리의 독립운동사에 크나큰 획을 긋는 일이었다. 여기서는 광복군의 창설과정과 그 임무, 군사활동, 해방 후 활동과 귀국 등에 대해 시대 순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려보고자 한다.
2.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임무
무장부대의 창립은 1936년 한국광복군 창설계획이 본격화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36년 11월의 정무보고서에는 “우리의 광복을 완성하는 데는 적과 더불어 최후의 일전을 결하는 외에 다른 방도가 없으며 또 현재 국제정세는 일본과 더불어 전쟁을 개시할 시기가 임박하고 있으므로 우리는 군사에 대한 시설을 급절히 생각지 않을 수 없다”고 무장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직후, 임시정부는 구체적인 군사계획 수립을 위해 군무부 산하에 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초급장교 양성과 1개 연대 규모의 군대를 편성한다는 군사 활동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일본군의 점령지역이 확대되면서 임시정부는 여러 곳으로 옮겨 다녀야 했고, 계획은 추진되지 못하였다. 임시정부가 광복군의 창설을 적극 추진하기 시작한 것은 1939년 기강(綦江)에 도착한 직후, 한국독립당에 의해 추진되었다.
참고 자료
1. 한시준, [한국광복군의 활동과 역할], (동양학연구소), 2000
2.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4
3. 염인호, [해방 후 한국독립당의 광복군 확군 운동], (역사문제연구소) 창간호. 1996
4. 농경채, [인물 바로보기 3 : 일본 육사 출신 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내일을 여는 역사) 창간호, 2001
5. 김수자, [대동청년단의 조직과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