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표준
- 최초 등록일
- 2007.12.02
- 최종 저작일
- 2007.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메타데이터의 정의와 표준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목차
● 메타데이터(metadata)의 정의
● 메타데이터 기대효과
● 메타데이터의 목적
● 메타데이터의 표현 구문
● 메타데이터의 관계구조
● 메타데이터간의 연결
등
본문내용
● 메타데이터(metadata)의 정의
[1] 메타데이터(metadata)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로서 정보자원의 속성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메타데이터란 실제로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 자체는 아니지만, 이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자원을 설명하는 요소집합” 등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맞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쉽고 빠르게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다. 즉, 데이터를 소유하고 있는 측면에서는 관리의 용이성을,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측면에서는 검색의 용이성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메타데이터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2] 메타데이터(Metadata)란 말은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혹은 전자자원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요소로서, 최근에는 주로 네트워크 자원의 레코드란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즉,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자원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다양한 접근점과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한 레코드라 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도서관에서는 오랫동안 잡지나 단행본의 목록을 해오고 있다. 서가에서 자료를 찾기 위해서 또한 자료의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자료검색을 위하여 메타데이터가 활용되어져 왔다. 몇 년 사이에 메타데이터의 연구 활동이 활발한 것은 전통적인 메타데이터로서 역할 뿐 아니라 인터넷 기반에서의 전자 자원이나 비 전자 자원의 이용을 지원하는 여러 분야에 응용 이용함에 있다. 관련기술로는 MARC, TEI, DC, INDECS, ONIX, GILS, CHIO, CSDGM, CDWA, EAD 등이 있다.
참고 자료
국회도서관
논문
전자정부의이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