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시가 부분을 삼국 나라 별로 정리했습니다.참고문헌도 신빙성 있는 것들로만 정리해서 모아뒀습니다~
하나하나 검색해서 찾기 힘드시죠 ?
정말 괜찮은 자료 입니다 !
목차
1. 고대가요의 개념 및 발생 …………………………………………………………………… 12. 삼국 이전의 시가
(1) 공후인(箜篌引) ……………………………………………………………………………… 2
3. 고구려 시가
(1) 황조가(黃鳥歌) ……………………………………………………………………………… 4
(2) 내원성가(來遠城歌) ………………………………………………………………………… 5
(3) 연양가(延陽歌) ……………………………………………………………………………… 6
4. 가락국 시가
(1) 구지가(龜旨歌) ……………………………………………………………………………… 7
5. 백제 시가
(1) 정읍사(井邑詞) ……………………………………………………………………………… 10
(2) 선운산가(禪雲山歌) ………………………………………………………………………… 15
(3) 무등산가(無等山歌) ………………………………………………………………………… 15
(4) 방등산가(方等山歌) ………………………………………………………………………… 16
(5) 지리산가(智異山歌) ………………………………………………………………………… 16
6. 신라 시가
(1) 신라 시가의 명칭 …………………………………………………………………………… 17
(2) 유래를 알 수 있는 시가
회소곡(會蘇曲) ……………………………………………………………………………… 21
물계자가(勿稽子歌) ………………………………………………………………………… 22
치술령곡(審述嶺曲) ………………………………………………………………………… 23
우식악(憂息樂) ……………………………………………………………………………… 23
실혜가(實兮歌) ……………………………………………………………………………… 24
원사(怨詞) …………………………………………………………………………………… 24
양산가(陽山歌) ……………………………………………………………………………… 25
무애가(無寐歌) ……………………………………………………………………………… 25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 26
앵무가(鸚鵡歌) ……………………………………………………………………………… 26
현금포곡(玄琴抱曲) ………………………………………………………………………… 27
대도곡(大道曲) ……………………………………………………………………………… 27
망국애가(亡國哀歌) ………………………………………………………………………… 27
동경(東京) …………………………………………………………………………………… 28
여나산(余那山) ……………………………………………………………………………… 28
목주가(木州歌) ……………………………………………………………………………… 29
명주가(溟州歌) ……………………………………………………………………………… 30
문군곡(問群曲) ……………………………………………………………………………… 32
백실(白實) …………………………………………………………………………………… 32
동경(東京) …………………………………………………………………………………… 33
이견대가(利見臺歌) ………………………………………………………………………… 33
여나산(余那山) ……………………………………………………………………………… 34
장한성(長漢城) ……………………………………………………………………………… 35
(3) 제목만 알려진 시가 ………………………………………………………………………… 36
본문내용
(1) 공후인(引) :<공후인>의 유래에 대하여는 진(晉)나라 최표(崔豹)가 지은 「고금주(古今注)」란 책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음과 같다.「공후인은 조선의 나룻배 사공 곽리 자고(藿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갈 때 머리가 센 한 미친 이가 머리를 풀어 헤치고 병을 차고 물을 거슬러 건너가는데, 뒤따르는 그의 아내가 부르면서 말리어도 미치지 못하여 드디어 그 늙은 이는 물에 빠져 죽었다. 이에 그 아내가 공후를 끌어당겨 두들기며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어 부르니, 그 노랫소리가 매우 처량하였다. 노래를 마치고 그도 또 따라서 물에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 자고(子高)가 집에 돌아가 그 아내 여옥에게 그 광경을 이야기해 주었는데, 여옥이 이 말을 듣고 설어하여 공후를 가지고 그 소리를 본받아 타니, 듣는 이가 모두 눈물을 흘리며 울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여옥이 그 소리를 이웃 여자 여용(麗容)에게 전하여 널리 펴치니, 이를 이르되 공후인이라 한다. 」
하였다.
이 <공후인>에 관해서는 한치윤(韓致奫)의 「해동역사(海東繹史)」에도 「고금주」의 기록을 인용하였고, 이밖에 「태평어람(太平御覽)」·「동란섭필(銅蘭涉筆)」·「조야첨재(朝野僉載)」등에도소개되어 있는데, 노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公無渡河 / 그대는 물을 건너지 말랬더니
公竟渡河 / 그대는 마침내 물을 건너
墮河而死 / 강물에 빠져 죽었으니
將奈公何 / 그대여 장차 어찌하리꼬.
참으로 솔직하고 소박한 비극적인 우리의 고대 시가였으나, 오늘날은 사언 한시(四言漢詩)로 번역된 것만이 전하여 올뿐, 그 본래의 모습이 전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이 노래를 지은 연대와 작자에 대하여는 학자에 따라 의견이 다른 점이 있다. 어떤 학자는 일찍이 한곡(漢曲)으로서 중국에서 전파되어 오던 것이, 우리나라에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던(108 AD) 때부터 한말(220 BC) 사이에 우리나라의 이 구슬픈 설화를 어느 한(漢)나라 문인이 관심을 갖게 되어 지은 것이 아닌가 보고 있는가 하면,3) 어떤 학자는 제작 연대를 서기 2세기경이라 하고 원래는 민요이던 것이 중국인에 의하여 한역(漢譯)된 것으로 보았으며,4) 또 어떤 학자는 원래는 서민의 민가(民歌)이던 것을 한사군 이후부터 전 한말(前漢末)까지 사이에 한문으로 정착시킨 것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는데, 원작자는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이고, 정착시킨 이가 여옥이 아닌가 보고, 여옥을 이주(移住)한 한나라 사람으로 추측하였다.5)
이와 같이 학자에 따라서 학설들이 다르지만, 이 노래를 처음 수록한 「고금주」에 지은 사람이 여옥이라고 서두에서 밝히고 있으니, 작자는 역시 여옥으로 보는 것이 옳겠고, 저작 연대에 대해서는 최표의 「고금주」에 수록된 것만 하여도 서기 3세기의 일이니, 우리나라에 한문이 전래한 시기를 서기전 2세기 한사군이 설치된 무렵이라고 한다면, 이 노래는 적어도 서기전 2세기 이후에 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며, 이 노래의 한문으로 정착된 시기는 한사군 이후부터 전한 말까지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역자는 이 노래의 이야기가 먼저 「고금주」에 수록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고대 설화에 수반한 우리말로 된 이 노래를 당시 우리나라에 왔다가 간 중국인이 아닌가 생각된다.6)
하여튼, 이 노래의 내용은 남편이 물에 빠져 죽은 것을 울부짖으며 애통해하다가 곧 뒤따라 자신도 몸을 강물에 던져 죽는 아내의 지극한 애정을 읊은 것인데, 이 노래가 한국 시가 문학사상에서의 위치를 생각한다면, 가사는 전하지 않고 있지만 한역가나마 전하고 있어 우리의 시가 문학사상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노래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상으로 보아도 원시적인 우리의 서사 문학이 서정 문학으로 옮아간 노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三國遺事, 韓國上古文學硏究(金承璨, 第一文化社, 1978), 한국고전시가론(鄭炳昱, 新丘文化社, 1979), 韓國古典詩歌의 硏究(金學成, 圓光大學敎出版局, 1980), 龜旨歌硏究(朴智弘, 국어국문학16, 1957), 駕洛國記攷(金烈圭, 釜山大學校 國語國文學誌 2, 1961), 龜旨歌攷(黃浿江, 국어국문학 29, 1965), 駕洛國記說話考(蘇在英, 高麗大學校 語文論集 10, 1967), 駕洛國記(崔東元, 金海地區 綜合 學術調査 報告書, 釜山大學校 韓日文化硏究所, 1973), 龜旨歌의 作品的 性格과 그 解釋(成基玉, 배달말 12, 慶尙大 배달말학회, 1987), 首露神話의 敍述原理의 特殊性과 그 現實的 意味(李康沃, 加羅文化 5, 慶南大學校 加羅文化硏究所, 1987), 駕洛國記의 山上儀禮와 龜旨歌의 性格에 對한 小攷(黃京淑, 釜山大 國語國文學 31, 1994).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향가 작품과 해설 53페이지
- [고려사] 악지 고구려 [명주가] 2페이지
-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의미, 고전시가(고전시가문학)의 구성, 고전시가(.. 8페이지
- 공무도하가 & 헌화가 4페이지
- 시조 총 망라 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