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환경운동
- 최초 등록일
- 2007.11.28
- 최종 저작일
- 2006.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의 환경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환경운동의 개념
2.우리나라 환경운동의 역사
3.환경운동의 유형
4.한국의 환경운동의 문제점
5.환경운동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1.환경운동의 개념
일반적으로 환경문제와 관련된 모든 집합적 활동을 환경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다.
환경운동이란 환경단체라는 명시적 조직이나 단체를 표방하고 있는가의 여부와 관계없이, 또 어떤 특정한 운동방식을 지향하고 있는가와 상관없이, 환경정책의 강화에 기여하는 모든 집합적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2.우리나라 환경운동의 역사
우리나라 환경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은 일반적으로 4단계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제 1단계는 지역주민운동출현의 시기(1960~1982), 제 2단계는 조직적 환경운동이 형성되는 시기(1982~1987), 제3단계는 환경운동의 확산과 다양화의 시기(1987~1992), 제 4단계는 전국적으로 환경운동이 확대되는 시기(1993~)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각 단계별 환경운동의 전개상의 특징을 살펴보자,
제1단계는 지역주민운동출현의 시기(1960~1982)로, 이 시기에는 국지적인 공해 피해에 대한 주민의 항의, 진정 등을 통한 피해보상운동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지식인이나 중간계급에 의한 전문적인 환경운동단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전문환경운동조직이 성립하지 못한 이유는, 정치적인 기회구조의 폐쇄성에 의한 것으로, 당시의 박정희정권은 공해반대운동을 반정부․반체제적 운동으로 간주하여 탄압을 하였기 때문이다.
제2단계인 조직적 환경운동이 형성되는 시기(1982~1987)에는,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전문환경운동조직의 형성이 시작되어, 지역주민의 자생적 저항운동과 환경운동 조직간의 접합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운동은, 운동의 주체는 민중이며, 공해의 인은 군사독재정권과 독점재벌기업, 그리고 다국적기업이라고 규정하였고, 주된 이념적 전략을 가지고 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특히 1982년 한국공해문제연구소가 설립되어 주민운동을 지원하고, 1985년에는 온산병을 사회문제와 시키는데 공헌하여, 온산의 지역주민들의 집단이주요구운동이 전개되기도 했다.
참고 자료
구도완 1997. 『한국 환경 운동의 사회학-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하여』. 문학과지 성사
구도완. 1993. “박사과정 특별분과 :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특성”『한국사회학』83~91
구도완. 1995. “한국의 새로운 환경운동” 『한국사회학』제29호 347~371
김성수. 2003. “한국 환경운동에 관한 일고” 『한국환경과학회지』제12권 제1호 1~14
정준금. 1995. “한국사회에서 시민운동과 정부:한국의 환경운동과 환경정책” 『서울행정학 회』제 6권 19~46
정현석. 2003. “한국적 신사회운동의 위치정립에 관한 연구-환경운동을 중심으로-” 『한국 정책과학학회보』제 7권 제3호 437~356
조명해. 2001. “한국의 환경의식과 환경운동”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13권 제3호 14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