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천연 자원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실험에 관한 것입니다.목차
1. 서 론 ………………………………………………………………… 12. 연구배경 ……………………………………………………………… 2
3. 실 험 ………………………………………………………………… 9
3-1. 실험재료 ………………………………………………………………… 9
3-2. 밀도측정 ………………………………………………………………… 9
3-3. 역학적 특성 …………………………………………………………… 9
3-4. TGA 측정 …………………………………………………………… 10
3-5. 표면관찰 ………………………………………………………………… 10
4. 결과 및 고찰 ………………………………………………………… 11
4-1. 대나무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와 sheet의 제조 ……………… 11
4-2. Hemp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와 sheet의 제조 ………………… 11
4-3. 대나무 및 Hemp Fiber의 알칼리 처리 조건에 따른 특성 ……… 13
4-4. 대나무 및 Hemp Fiber의 밀도 …………………………………… 15
4-5. 대나무 및 Hemp Fiber의 역학적 특성 ………………………… 19
4-5-1. Tenacity …………………………………………………………… 19
4-5-2. Initial Modulus ……………………………………………………… 23
4-5-3. Elongation ………………………………………………………… 27
4-6. 대나무 및 Hemp Fiber의 TGA 측정 …………………………… 31
4-7. 대나무와 Hemp Fiber 및 Sheet의 표면관찰 …………………… 33
5. 결 론 …………………………………………………………………40
Reference ………………………………………………………………42
본문내용
1. 서론기존의 면, 펄프, 마 등의 셀룰로오스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성질에 적합하고, 보다 강한 성질이 요구되는 산업용 재료로 사용하기에는 기계적 성질이 미흡하다. 특히 복합재료의 보강섬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탄성률이 요구되는데 천연섬유에서는 적합한 소재를 찾기 어렵다. 셀룰로오스 섬유를 종이 및 의류 이외의 용도로 응용하기 위해 강도 및 탄성율이 기존의 펄프, 면, 마 등의 경우보다 상당히 향상된 고성능 섬유의 제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맞추어 천연자원으로 부터 산업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섬유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어져 기존의 셀룰로오스 섬유보다는 강도, 탄성률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일반적인 면, 마, 및 펄프의 기계적 성질을 살펴보면 Table 1.에 보인 바와 같이 면섬유는 평균강도가 3~5g/den, 탄성률은 80~130g/den, 신도는 3~7%이고 마섬유의 경우에는 평균강도 5~7g/den, 탄성률은 350~400g/den, 신도는 2~5%정도이고 펄프의 경우에는 강도 1~3g/den, 탄성률은 150g/den정도이다.(1)
본 실험에서는 천연자원으로 부터 얻기가 쉬우며, 단위섬유로서 분리가 용이하고 조직이 치밀하여 지금까지 다른 셀룰로오스 섬유에서 얻을 수 없었던, 보강섬유로서의 탄성률이 뛰어날 것으로 추정되는 대나무의 섬유가능성과 특성을 기존의 셀룰로오스 중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마섬유와 비교, 검토하여 복합산업용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2. 연구배경
셀룰로오스는 면, 대마, 아마, 목재 등 고등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주성분으로서 매년 수십억톤이 광합성에 의해 생산되며 자연을 오염시키지 않는 재생가능한 polymer이다. 셀룰로오스에는 면이나 마류 등에서처럼 간단한 정제 처리에 의해 의복섬유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목재 섬유와 같이 펄프화하여 종이, 레이온, 필름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참고 자료
(1) 金碩根., 纖維材料學, 102~146 (1991)(2) Freudenberg, K., Ber., 54, 767 (1921).
(3) Haworth, W. N., Nature, 116, 430 (1925).
(4) Haworth, W. N. and Hirst, Z. L., J. Chem. Soc., 129, 2436 (1927).
(5) McDonald, T.R.P. and Beevers, C. A., Acta Cryst., 5, 654 (1952).
(6) Ferrier, W. G., Acta Cryst., 13, 678 (1960).
(7) Jacobson, R. A., Wunderlich, J. A., and Hipscomb, W. N., Acta Cryst. 14, 606 (1961).
(8) G. Honjo and M. Watanabe : Nature, 181, 326 (1958).
(9) K. H. Meyer and L. Misch : Helv. Chim. Acta, 20, 232 (1937).
(10) 日本 木材 學會 木材誌, 21, No. 12, 1 (1980)
(11) C. Y. Liang and R. H. Marchessault ; J. P. S 37, 385 (1959)
(12) A. Sarko and R. Muggli; Macromolecules 7, 486 (1974)
(13) R. D. Preston and J. Cronshaw : Nature, 181, 248 (1958)
(14) A. Frey-Wyssling : Ber., Dtsch. Bot. Ges., 54, 455 (1963)
(15) Schoch-Bondmer : Planta, 25,660 (1963).
(16) D. B. Anderson and T. Kerr : Ind. Eng. Chem., 30 48 (1938).
(17) 日本 木材 學會 木材誌, 21, No. 9, A1 (1975)
(18) 朴判巖, 化學纖維, 113 (1992)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섬유공학]새로운 천연섬유 소재 - bamboo fiber (대나무 섬유) 9페이지
- [섬유]옥수수섬유 13페이지
- [의류 신소재]옥수수 섬유 21페이지
- 담양 대나무 경쟁력 제고 방안 15페이지
- 우리나라 식물자원의 보존실태 및 대책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