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수분이동의 원리
1. 수분포텐셜
2. 집단류
3. 확산
4. 삼투
5. 세포액의 삼투압
6. 세포의 흡수
Ⅱ. 수분의 흡수
1. 수분의 흡수기관
2. 뿌리의 생육과 환경
3. 뿌리의 수분흡수 기구
4. 토양과 수분
5. 뿌리의 흡수와 토양조건
Ⅲ. 수분의 소실
Ⅳ. 작물체내의 수분이동
Ⅴ. 조직 또는 기관상호간의 수분의 수급
Ⅵ. 작물의 요수량
Ⅶ. 수분생리 측정기술
본문내용
(1) 삼투포텐셜
① 뜻 : 용질에 의한 포텐셜이며 용질농도가 높아지면 삼투포텐셜은 감소한다.
② 표시 : ψs, π → 항상(-)의 값을 갖는다.
③ 삼투포텐셜 : -n/v×RT(van`t Hoff의 가스법칙 공식→PV=RT)
( n : v리터 용액에서 용질몰수, R : 가수함수, T : 절대온도)
④ 삼투포텐셜에 영향하는 체내조건
함수량 : 적어지면 감소되고 많아지면 증가한다.
가용성 물질 : 많아지면 감소한다.
⑤ 식물체내 삼투포텐셜 : 뿌리 > 잎
(2) 압력포텐셜
① 뜻 : 세포조직에서 생기는 압력에 의한 포텐셜이며 물을 흡수하면 팽압이 커지므로 (+)의 값을 갖는다.
② 초본식물 잎의 팽압 : 여름정오→+3~+5, 밤→+15bar
③ 팽압의 주야변화 : 잎의 수분함량의 주야변화와 일치한다.
④ 원형질 분리 : 팽압 0, 증산작용 왕성시 : (-)값을 갖는다.
⑤ 압력포텐셜 측정 : 수분포텐셜 - 삼투포텐셜(ψp=ψ-ψs)
(3) 매트릭 포텐셜
① 뜻 : 교질물질과 식물세포의 표면에 대한 물의 흡착친화력으로 표시한다. 즉 물분자와 이와 접촉되는 매트릭(토양입자, 세포벽, 유기분자)간의 장력을 의미한다.
② 액포가 없는 세포, 풍건종자, 건조지대 식물 : 매트릭포텐셜이 매우 크다.
액포를 지닌 성숙된 초본식물 : 0 → 식물체에서 무시한다(0.1bar 정도)
(4) 수분포텐셜 구성요소의 상호관계
① 수분포텐셜은 주로 압력포텐셜과 삼투포텐셜에 좌우된다.
ψ = ψs + ψp 로 표시
② 수분포텐셜 구성요소간 상호관계
수분포텐셜 = 삼투포텐셜 + 압력포텐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