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의 조직구조
- 최초 등록일
- 2007.11.21
- 최종 저작일
- 2007.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공공도서관경영론 레포트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조직구조와 조직화
1)조직(organization)
2)조직화(organizing)
2.조직의 형성원리와 구성요소
1)조직의 형성원리
2)조직의 부문화 기준
3)조직의 구성요소
3.공공도서관의 조직구조
4.조직 구조 사례
1)대구광역시 시립 중앙도서관
2)국립중앙도서관
Ⅲ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도서관은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를 이루어왔다. 시대에 따라서 도서관의 역할도 변화였으며, 그 속의 조직구성도 변화하였다. 현재의 도서관은 과거에 비해 이용자의 자료이용이 가장 효율적 일 수 있도록 조직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조직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조직구조와 그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가 변화하는 사회에 어떠한 대응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Ⅱ.본론
1.조직구조와 조직화
1)조직(organization)
일정한 환경 하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인 또는 집단이 업무를 배분하고, 그 분담된 역할이 전체로서 통일된 협동 관계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틀 혹은 체계를 말한다.
즉, 둘 이상의 인간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형성 된 개인들의 집합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2)조직화(organizing)
그 틀을 조성하는 작업과 그 과정
①한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과업의 확인
②과업들을 논리적인 방법으로 분류, 조직
③분류된 각 과업집단을 책임자에게 할당하고,
④각 급의 경영자, 관리자가 수평적, 수직적으로 과업내용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 제공.
※조직하는 목표
①업무의 흐름을 명확히 볼 수 있다.
②직무에 대한 책임과 한계의 분명한 설정
③업무의 수행지침과 행동체계에 따른 계획 및 통제의 용이성
④커뮤니케이션 및 의사결정 경로의 체계화
⑤직무의 중복과 갈등의 예방
⑥직무성과의 제고
2.조직의 형성 원리와 구성요소
1)조직의 형성원리
①분화와 통합의 원리
분화는 전체 업무를 수서․정리․열람 업무로 나누고 수서 업무는 다시 선택․구입․수집․등록 등으로 구분하듯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직무를 분장하는 것으로서, 직원에게 각각 상이한 역할을 부여하는 수평적 분화와 그 결과로 나타나는 다양한 직무의 계층관계를 규정하는 수직적 분화 등을 포함 한다.
참고 자료
1)윤희윤, 대학도서관 경영론, 대구 :태일사, 2002, p104.
2)이진영, 공공도서관 운영론,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1, pp.90-94
3)김명현, 송상호, 조직재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 프로세스 조직, 팀 조직 네트워크 조직 학습조직의 통합적 고찰, 1996 pp.344-345
4)정도열, 도서관 경영론, 한국도서관협회, 2005
5)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http://www.tglnet.or.kr/
6)국립도서관 홈페이지 http://www.n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