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발전소는 1939년 2월 한강유역의 전원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한강
수력 전기주식회사가 북한강을 가로막아 총저수량 10억1,800만톤의 거
대한 댐공사를 기공하여 1944년 10월 준공을 보았다.
1944년 5월 27,000Kw 제1호 발전기를, 동년 10월에 제2호 발전기를 설
치하여 운전을 개시하였고 제3호기는 수차 일부를 설치도중 8.15조국
해방을 맞이하여 일본인들은 물러가고 발전소는 북한에 의하여 운영되
되고 있었다.
6,25사변이후 휴전선 이남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한국에 귀속되었고
1952년 3월 본격적인 복구 공사가 착수된 것은 우리나라 전력사에 서
광을 가져온 것이다. 복구공사는 순조롭지만은 않았다. 혹심한 전재뿐
뿐만아니라 장기간 방치에 의하여 시설은 거의 전파되었거나 혹은 사
용불능 상태였고 발전소가 38선 경계에 인접한 관계로 전황 귀추에 따
라 항상 좌우되어 공정이 지연되는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뒤따랐다.
본격적인 공사는 휴전 회담의 성패가 어느정도 예견됨 으로서 비로서
가능하였으며 착공 4개월만인 1952년 7월 15일 제1호기의 시운전을 성
공리에 시행 햐였고 제2호기의 복구공사는 정부의 보증융자와 국고보
조로서 1953년 5월에 착공하여 동년 6월 1일에 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전력수요 절대량 충족에도 미흡되어 정부는 제3호기 증설공사
를 1954년도 I.C.A 원조자금에 의하여 1955년 8월에 미국(모리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