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L][제품배치][간접광고]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역사와 정의,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효과와 장점,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문제점과 규제동향,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활용 방안(PPL 사례 중심)
- 최초 등록일
- 2007.11.13
- 최종 저작일
- 2007.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역사와 정의,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효과와 장점,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문제점과 규제동향, PPL(제품배치, 간접광고)의 활용 방안(사례 중심)
목차
Ⅰ. 개요
Ⅱ. PPL의 역사
Ⅲ. PPL의 정의
Ⅳ. PPL의 효과
Ⅴ. PPL의 장점
Ⅵ. PPL 대금 가액
Ⅶ. PPL의 문제점
1. 영화 제작사 입장
2. PPL 에이전시 입장
3. 협찬사(클라이언트)입장
Ⅷ. PPL의 규제 동향
1. 미국의 규제동향
2. 우리나라의 규제동향
Ⅸ. PPL 사례
1. 국내 영화
2. 외국 영화
Ⅹ. PPL활용의 확대와 효과적인 PPL을 위한 방안
본문내용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 혹은 브랜드배치(brand placement)라고도 불리는 배치의 개념은 문헌에서도 상이한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 Clark(1991)에 의하면, 제품배치(PPL)란 제조회사(manufacturers or client)가 일반 극장에 배급되는 극영화 속에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노출시키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Balasubramanian(1994)는 브랜드배치(brand placement)는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속에 브랜드 제품의 등장을 계획적으로, 그리고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영화나 텔레비전 오디언스에게 영향을 줄 목적으로 하는 유료(대가성)의 제품메시지`라고 정의하였으며, Karrh(1994)는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와 상표배치(brand placement)라는 용어를 엄격히 구별하고 있다. 즉 배치에 있어 초점이 되는 것은 제품(예, 콜라 대 차)이 아니라 특정 상표(예, Coca-Cola 대 Pepsi)라는 것이다. 게다가 PPL을 통해서 동일한 제품범주 내에 있는 다른 상표와 비교하여 특정상표의 상대적인 가치상승을 추구하는 것은 상표관리자(brand manager)의 영역이다. 결국 엄밀한 의미에서 "상표배치(brand placement)"를 사용하는 것이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PPL 활동의 핵심을 포착하는데 유용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영화나 광고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영화 속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라는 용어는 경제 및 학술적인 문헌에서 언급된 브랜드 배치라 부르는 것보다 다소 부정확 하지만 일반적인 용어라 생각된다. 따라서 영화 속 제품배치 즉 `PPL`을 광고의 일종으로 구분하고 「`PPL`은 명시되지 않은 광고주 기업이 일정한 협찬의 대가를 지분하고 영화 속에 특정상품이나 서비스를 노출시키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본 글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하기로 하겠다.
Ⅱ. PPL의 역사
PPL의 역사는 1940년대 후반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술과 마약 장사는 마피아들이 주도하던 장사였다. 마피아들은 술 광고를 하기 위해, 당시 위스키 제조회사들이 TV에서 술을 마시는 장면을 많이 활용하도록 했다. 그것이 PPL의 시작이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PPL이라는 개념이 없었을 뿐더러 그것이 PPL인지 알지도 못했었다.
PPL이란 원래 영화 제작사 소품담당자(Prop Men)가 영화에 사용할 소품(Property)들을 배치하는 업무를 이르는 말이었다. 1970년대 이전만 해도 헐리우드의 제작사와 소품담당자들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소품을 확보하기 위해 곤란을 겪어야 했고 기업들에게 제품의 협찬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하기 일쑤였다. 이때부터 소품담당 출신들이 주축이 된 초기형태의 PPL Agency들이 출현하였는데 이들은 각 제조회사들로부터 5만 달러 정도를 받고 물건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