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대로 도약하는 친디아
- 최초 등록일
- 2007.11.13
- 최종 저작일
- 2007.11
- 22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
소개글
세계경제과목에 친디아부분을 발표하여 A+를 받은 PPT자료입니다.
목차
Ⅰ.친디아의 정의
Ⅱ.친디아의 형성과정과 현 상황 분석
Ⅲ.친디아와 FTA
Ⅳ.친디아 경제의 전망과 한계
Ⅴ.친디아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Ⅵ. 친디아와 한국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
본문내용
Ⅰ. 친디아의 정의
중국(China) +인도(India)
Chindia(친디아)
용상악수 (龍象握手)
2003년 이후 매년 8~9% 이상의
경제 성장 지속
21C 아시아 부흥의 중심역할
Ⅰ. 친디아의 정의
참고 - 친디아의 공통점
첫째, 거대 규모의 인구와 시장 + 노동력과 자원이 풍부
둘째, 오랫동안 계획 경제체제를 유지, 과도한 국가 개입이 행해져 왔으나 최근 들어 광범위한 경제 개혁개방을 추진하고 있는 중
셋째, 낮은 소득 수준과 성장률로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으나,
최근 경제 개혁과 함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
Ⅱ. 친디아의 형성과정과 현 상황 분석
(1)친디아의 외교관계 전개과정
초기협력관계 ->1954년 `중국 영토 내 티베트와 인도 간 무역과 교류에 관한 협정` 체결
인중전쟁과 관계악화 ->인중전쟁 후 국경분쟁 시작
관계복원 및 협력강화 ->데사이 정권과 덩샤오핑 정권의 등장
(2)친디아의 중요성
상대국과의 협력체제를 갖출 경우 세계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줌
경제협력을 통해 정치, 외교, 군사적인 측면으로 파급되었을 떄 국제사회지형의 변형
2005년 4월 11일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구축으로 미국 패권의 20세기를 지나 2050년에는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인도의 성장도 빨라질 것임
참고 자료
1. 단행본
박형기. {친디아-21세기 한국의 운명 결정할, 중국․인도 경제긴급보고서} 해냄, 2005.07.15.
이양호. {China 2050 Project}. 한스앤리, 2005.12.03.
정동현. {중국과 인도}. 부산대학교출판부, 2006.03
조행만. {두 거인 인도와 중국 진출전략} 라이터스, 2005.06.29
삼성경제연구소 편집부. {SERI전망 2007}. 삼성경제연구소, 2006.12.01.
2. 연구논문
김창모. [CHINDIA경제와 통상정책에 관한 연구],{경영컨설팅연구}.제6권 제1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6.
이지석. [친디아 경제의 부상과 전망],{지방자치}.통권214호. 미래한국재단. 2006.
주동주. [친디아 시장형성 배경과 산업별 영향],{KIET산업경제}.통권80호. 산업연구원. 2005
한상춘. [21세기의 기업경영 왜 브릭스와 친디아인가],{정경뉴스}.통권68호. 한국언론인 연합회. 2005
3. 잡지 및 신문
{서울경제신문}. 2007년 10월 4일자.
{한국경제신문}. 2007년 9월 10일자, 2007년 7월 20일자.
{중앙일보}. 2006년 11월 28일자, 2006년 11월 22일자.
{세계일보} 2007년 4월 8일자
4. 인터넷 사이트
http://blog.naver.com/gangpoet?Redirect=Log&logNo=70021784461
http://blog.naver.com/gangpoet?Redirect=Log&logNo=70021784461
http://blog.naver.com/paradoxid?Redirect=Log&logNo=100041786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