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이해]일본 대중문화 개방과 방송
- 최초 등록일
- 2007.11.05
- 최종 저작일
- 2006.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일본의 대중문화 개방과 방송에 대한 고찰을 해본 발표문건 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일본대중문화개방의 의미
2. 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과정과 내용
3. 일본대중문화개방 전,후
4. 일본대중문화개방의 장,단점
5. 일본대중문화개방에 대한 우리의 자세
Ⅲ. 결론
본문내용
Ⅱ. 본론
1.일본대중문화 개방의 의미
일본대중문화 개방이란 한국정부가 1998년 10월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후에도 계속 막아온 일본 대중문화의 유입을 허용한 조치이다. 일본대중문화 개방이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김대중정부에서다. 국민의 정부 출범이후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4월 ‘일본대중문화 개방에 두려움 없이 임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따라 단계적 개방이 이뤄졌다. 김대중 정부 시절 일본대중문화 개방정책이 공표되면서 개방의 절차와 우선순위를 두고 많은 논의가 이뤄졌다. 처음부터 전면 개방을 주장한 측도 있었지만 한국문화산업의 현실을 고려한 이른바 단계적 개방론이 대세였고, 그에 따라 1,2,3,4차에 이르는 개방 프로그램이 이미 공표, 시행된 바 있다. 또한 2006년 1월 5차 개방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2.일본대중문화 개방의 추진과정과 내용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한국 정부는 1998년 4월에 일본대중문화 개방을 공식 확인했고, 같은 해 10월에 1차 개방을 단행했다. 2003년 9월에는 4차 개방이 이뤄졌는데, 이로써 사실상 일본 대중문화의 ‘전면개방’이 이뤄지게 되었다. 추진과정을 간략히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참고자료*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양기환, 2000,“일본대중문화 개방이 국내 영상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스크림쿼터”, 문화연대 정책 세미나 발표 논문
-홍성태, “일본대중문화 개방의 문화정치”
-문화관광부 www.mct.co.kr
-김광수, 배상욱, 최원일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
-해럴드경제, 셰계일보, 디지털타임즈 등 신문 보도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