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작가 모리 오오가이
2. 모리 오오가이의 대표작
3. 작가평
4. <기러기> 원문 인용을 통한 감상
5. 비평
본문내용
5. 번역 : 오타마(お玉)의 운명을 바꾸어버린 3번의 우연
1. 내가(僕) 고등어 된장 조림을 싫어한 일.
ぼくは下宿屋や学校の寄宿舎の「まかない」に飢えをしのいでいるうちに、身の毛のよだつほどいやな菜ができた。どんな風通しのいい座敷で、どんな清潔なぜんの上にのせて出されようとも、ぼくの目がひとたびその菜を見ると、僕の鼻は名状すべからざる寄宿舎の食堂の臭気をかぐ。煮ざかなにひじきやさがらぶがつけてあると、もうそろそろこの嗅覚のhallucination起こりかかる。そしてそれがさばのみそ煮にいたって窮極の程度に達する。
ー나는 하숙집과 학교 기숙사의 ‘요리사’에게 배고픔을 견디고 있는 동안 온몸에 소름이 끼칠만한 반찬이 나왔다. 아무리 통풍이 잘되는 객실에, 아무리 청결한 상위에 차려나와도 내 눈이 한번 그 반찬을 보면 나의 코는 뭐라 말로 표현 못할 기숙사 식당의 악취를 맡는다. 조린생선에 녹미채와 밀기울이 담겨져 있으면 이제 슬슬 이 악취의 환각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것이 고등어 된장 조림에 이르러서 극도에 달한다.
2. 도망가게 하려 했던 의도와는 달리 岡田가 던진 돌이 한 마리의 기러기에 맞은 일.
岡田は無精らしく石を拾った。「そんならぼくが逃がしてやる。」つぶてはひゅうというかすかなひびきをさせて飛んだ。ぼくがゆくえをじっと見ていると、一羽の雁がもたげていた首をくだりとたれた。それと同時に二、三羽の雁が鳴きつつ羽ばたきをして、水面をすべって散った。しかし飛びたちはしなかった。首をたれた雁は動かずにもとのところにいる。
ー岡田는 마지못해 돌을 주웠다. ‘그렇다면 내가 쫓아주지’ 돌멩이는 바람을 가르며 희미하게 여운을 남기고 날아갔다. 내가 그 날아가는 돌멩이 쪽을 바라보고 있을때, 기러기 한 마리가 쳐들고 있던 머리를 축 늘어뜨렸다. 그와 동시에 두세 마리의 기러기가 울면서 날개짓을 치며 수면을 따라 미끄러지듯 흩어졌다. 그러나 날아가지는 않았다. 머리를 늘어뜨린 기러기는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있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