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고령화]우리나라 인구고령화의 원인과 영향, 그 대책
- 최초 등록일
- 2007.10.29
- 최종 저작일
- 2006.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우리나라 인구고령화의 원인과 영향, 그 대책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인구 고령화 진행 실태
가. 인구 고령화 추세
나. 고령화 진전의 국제비교
[뉴스기사①] 10명중 1명이 노인 `20년 후엔 5명 중 1명`
[뉴스기사②] 65세이상 노인 인구 9.5%
다. 통계 그래프로 본 인구 고령화의 위기
2. 인구 고령화의 원인 : 출산율의 저하와 평균 수명의 연장
가. 출산율의 저하
나. 평균 수명의 연장
3. 인구구조의 변화와 부양비의 증가
가. 인구구조의 변화
나. 부양비의 증가
4. 인구 고령화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점
가. 건강
나. 빈곤
다. 일자리
라. 외로움
5. 인구 고령화로 인한 문제 극복 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전세계적으로 출산율 저하와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인구 구조가 고령화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어떤 나라에 비해서도 빨라 멀지 않은 미래에 심각한 문제점들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고령화 문제가 일찍부터 나타났던 구미 선진국들은 연금 시스템을 개혁하는 등 사회보장체계의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고령화가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뿐만 아니라 금융시장 및 자본시장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서도 다향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향후 예견되는 심각한 고령화에 대한 대비가 너무나 부족한 실정이다.
유소년층 인구가 점점 감소하고, 노인 인구가 점점 증가하다가, 약 20년후부터 절대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한국의 인구는 오는 2023년 5,068만 3,000여 명으로 정점에 달한 뒤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해 2050년쯤이면 4,433만 7,000여명으로 1990년대 수준으로 회귀할 것으로 추정된다.
1962년 가족계획사업 실시 후 저출산(低出産) 경향이 강화되었고, 또 의료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국민 영양 상태의 개선으로 인해 사망력이 낮아지면서, ‘낮은 출산력과 낮은 사망력’으로 특징지어지는 인구변천
(population transition)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 2002년 가임(可妊) 여성 1인당 평균 자녀 수가 1.17명에 불과하고 1970년 4.53명, 2001년 1.30명이었다. 이에 따라 그 이전에는 전혀 경험하지 못한 “늙은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와 관련된 사회적 변화로는 출산력의 저하, 평균 수명의 연장, 늙은 사회의 도래를 들 수 있다. 이는 생산연령인구에 엄청난 경제적 부담 초래하고 ‘고령인구의 고령화’(85세 이상 노인의 수가 65~74세 인구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함), 선진국에서 시작에서 종국에는 전지구의 인구 감소와 가족의 모습에 혁명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노동력 부족의 발생이 야기되는데 청년층 감소로 인한 인력 손실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고 장기적 안목에서의 산업 및 인력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인구규모와 인구구조에 대한 장기적 마스터 플랜 수립이 절실하다.
참고 자료
김재칠 외. [인구 고령화와 우리나라의 자본시장 I], 한국증권연구원, 2006.
설동훈 외. [인구 고령화와 사회정책],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3.
윤여필. [인구 고령화 시대, 부동산 가격 하락한다]
재정경제부 http://www.mofe.go.kr/
YAHOO! KOREA 미디어 http://kr.news.yahoo.com/
이정환닷컴! http://www.leejeonghw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