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정지용의 초기시 중의 하나로써, 고향에 대한 회상과 그리움을 정감어린 시어로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시에서 그리고 있는 공간은 시가 지어진 당시의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농촌이며,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 또한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보편적인 가족의 모습이다. 그런 뜻에서 이 작품은 특정한 개인의 체험을 넘어서서 한국인이 지닌 향수의 보편적인 정서에 부합될 만하다. 실제로 이 시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고 노래로도 불려지고 있다. 그럼 이제부터 많은 이들에게 어렵지 않은 시(詩)로 다가선 「향수」에 대해 분석해보기로 하겠다.
2. 시의 구조와 의미
이 작품은 10연으로 이루어진 자유시이다. 차례로 홀수연과 짝수연이 하나의 파트를 이루어 크게 다섯 파트로 다시 나누어 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나눈 하나의 파트를 한 연으로 보아 5연으로 된 작품으로 보기도 하는데 그것은 선행연과 후행연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둔 채 배치되어 있는 후렴구의 위치로 보아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
홀수연은 각각 저마다의 이미저리를 형성하고 있다. 1연은 넓게 펼쳐진 벌판을 먼 배경으로 하여 작은 개천과 황소가 있는 고향의 평화롭고 한가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3연은 어느 겨울 밤, 아버지가 주무시는 방의 분위기를 그리고 있다. 여기서 아버지가 주무시는 모습을 가난과 궁핍에 힘겨워하는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는데, 과거의 것을 그리워하는 전체적인 시의 분위기로 보았을 때 오히려 휴식과 평온함의 정서적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밖에서 들리는 바람 소리를 ‘말을 달리고’라고 표현하여 소리를 눈에 보이는 것처럼 형상화하고 있으며 역동성 또한 잘 느껴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