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순 정철 윤선도의 삶과 업적, 작품세계에 관한 리포트로
근세시가론 고시가론에 적합합니다.
목차
Ⅰ. 머리말1
Ⅱ. 몸말1
1. 송강 정철
1) 생애1
2) 문학 세계
① 한과 연모의 시가3
② 풍류의 시가5
③ 송강의 장진주사7
2. 고산 윤선도
1) 생애8
2) 문학 세계9
① 고산 윤선도의 한시10
② 금쇄동에서 지은 산중신곡10
③ 어부사시사11
3. 면앙정 송순
1) 생애11
2) 문학세계12
① 면앙정가13
Ⅲ. 끝말14
Ⅳ. 참고문헌15
본문내용
송강 정철과 고산 윤선도, 면앙정 송순은 우리 호남지방 가사문학에 있어 빼 놓아서는 안
될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들이다. 우리는 그들의 삶과 작품에 대해서 정확한 지식과 작품
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실 호남의 작가라고 말은 하고, 가사문학관을 많이 견
학 다녀온 것은 사실이지만 난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 말고는 아는 것이 없다. 이것은 호
남의 지역민으로서, 장차 국어교사를 꿈꾸는 나에게 있어서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이번 리포트를 통하여 그들에 대해서 고찰하여보고 그들의 작품정신에 깃들어진 마
음을 본받아 보고자 한다.
1. 송강 정철(松江 鄭澈)
1) 생애
정철의 자(字)는 계함(季涵)이며, 호(號)는 송강(松江)이다. 부친 유침(惟침)과 모친 죽산
(竹山) 안씨(安氏) 사이에서 4남3녀 중 넷째 아들로 중종31년(1536)에 서울의 장의동에서
태어났다. 그가 10세 되던 해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정순붕,허자 등이 매형인 계림군 유(瑠)
에게 없는 죄를 뒤집어 씌워서 죽이니 화가 정씨일가에게도 미쳐 큰형인 정랑공 자(玆)는
체포되어 매를 맞고 귀양을 가는 도중에 죽었으며, 부친 판관공(判官公) 역시 구금되었다가
겨우 죽음을 면하고 관북 정평으로 귀양을 갔다가 이듬해 연일(延日)로 귀양지를 옮겼다.
이때까지 송강은 생활의 안정을 얻지 못하고 학문을 하지도 못하였다. 부친은 그로부터 5년
후(명종6년)에 왕자 탄생의 은사(恩赦)로 석방되어 선친의 산소가 있는 전남 창평 당지 산
하에 거처하게 되었는데 송강도 부친을 따라 27세(명종17) 문과에 합격할 때까지 여기서
지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