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품사분류와 그 실제, 학교 문법체계의 문제점
GDal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어 품사분류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분석 하고,학교 문법체계와 비교하여 문제점을 제시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Ⅱ. 국어품사분류의 유형과 학자별 품사분류
①제 1 유형 : 주시경의 품사 분류
②제 2 유형 : 최현배의 품사 분류
: 이희승의 품사 분류
③제 3 유형 : 정렬모의 품사 분류
: 이숭녕의 품사 분류
Ⅲ. 현행 학교 문법에 따른 각 학자별 품사 분류의 차이와 문제점
①주시경 품사 분류의 문제점
②최현배 품사 분류의 문제점
③이희승 품사 분류의 문제점
④정렬모 품사 분류의 문제점
⑤이숭녕 품사 분류의 문제점
Ⅳ. 맺음말(요약)
본문내용
Ⅰ. 머리말주시경의 조선말 연구 이후 조선말의 씨가름에 대한 논의는 우리말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다. 품사의 분류는 같은 성질의 단어를 하나의 범주로 묶는 일이다. 그러나 문법연구를 하기 위해서 가장먼저 선행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품사의 분류이다. 따라서 품사의 분류는 국어의 문법적 기술의 기초를 이루는 것이므로 품사분류를 소홀히 하는 것은 국어 문법 연구 자체를 소홀히 하는 것이 된다. 국어 품사 분류는 주시경 이후 여러 국어 문법가들에 의해 개의 품사로 세분화 되었다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존재사, 지정사, 조사, 관형사, 부사, 접속사 감탄사, 형동사, 조용사...등의 21개의 품사로 세분화 되었다. 이들중 소수의 지지를 받는 품사도 있고 대부분의 지지를 받아 공식적으로 분류된 품사들도 있다.
현행 학교 문법 은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조사, 부사, 감탄사의 9품사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학교문법을 중심으로 몇몇 학자들의 품사 분류를 비교 해보고 품사 분류의 문제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Ⅱ. 국어품사분류의 유형과 학자별 품사분류
①제 1 유형
-제1유형에 속하는 품사 분류는 토나 어미를 하나의 품사로 인정하는 것으로 다른 품사 분류유형 에 비해 분석적이다.
⊙주시경의 품사 분류
주시경은 품사를 ‘임, 엇, 움, 겻, 잇, 언, 억, 놀, 끗’의 9품사로 설정하였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 : 여러 가지 몬과 일을 이름하는 기를 다 이름이라 - 사람, 개, 나무, 돌, 흙, 물, 뜻, 잠, 아츰...
*엇 : 여러 가지 어떠함을 이르는 기를 다 이름이라 - 크, 단단하, 착하, 이르, 이러하....
*움 : 여러 가지 움즉임을 이르는 기를 다 이름이라 - 가, 날, 자, 먹, 잡, 먹이, 잡히...
참고 자료
김동현(1998), “국어 품사 분류 연구”, 평택대학교논문집 10집1호, 23-52이광정(1997), “학교문법에서의 품사 분류”,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학회, 41-76
박지흥(1961), “국문법의 품사 분류론-품사론과 구문론의 논리적 연결-”, 한글 제 128호,
한글학과, 211-234
강기진(1986), “주시경의 품사 이론 연구-최현배 품사론과의 비교분석”, 한글 제 191호, 한 글학과, 121-144
서정수(1995), “최현배 문법의 품사 분류론에 대하여”, 한힌샘 주시경 연구 7·8, 111-134
지정사3
주시경(1910), “국어 문법”,(역대 한국 문법 대계, 제1부 4책, 서울 : 탑출판사),서울 : 박문 서관
최현배(1937), “우리 말본”, (역대 한국 문법 대계, 제1부 4책, 서울 : 탑출판사), 서울 : 정 음사
최현배(1969), “새로운 말본” 서울 : 정음사
이숭녕(1956), “중등 국어 문법”,(역대 한국 문법 대계, 제1부 34책, 서울 : 탑출판사) 서울 : 탑출판사
정렬모(1946), “신편 고등 국어 문법”(역대 한국 문법 대계, 제1부 25책, 서울 : 탑출판사), 서울 : 한글 문화사
이희승(1956), “중등 문법”,(역대 한국 문법 대계, 제1부 4책, 서울 : 탑출판사), 서울 : 박 문출판사
남기심외(1994), “표준국어 문법론”, 서울 : 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