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의 계몽주의 살롱문화
1) 마담 드 랑베르의 살롱
2) 마담 드 땅생의 살롱
3) 죠프렝 부인의 살롱
4) 드팡 부인의 살롱
5) 마드므아젤 드 레피나스의 살롱
낭만주의 시대의 살롱문화
1) 장리스 부인의 살롱
2) 스탈 부인의 살롱
3) 레까미에 부인의 살롱
19세기의 살롱문화
1) 왕녀 마띨드의 살롱
2) 파울리네 폰 메테르니히의 살롱
3) 마리 다구의 살롱
4) 쥴리에뜨 부인의 살롱
5) 델핀 드 지라르뎅의 살롱
6) 마르그리뜨 에이메리의 살롱
20세기의 살롱문화의 변형과 후예들
1) 에드메 드 라 로슈푸꼬의 살롱
2) 마리-로르 드 노아이으의 살롱
3) 플로랑스 굴드의 살롱
4) 쉬잔느 떼제나스
본문내용
< 살롱이란 >
귀족 부인들이 일정한 날짜에 자기 집 객실을 문화계 명사들에게 개방, 식사를 제공하면서, 문학이나 도덕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과 작품 낭독 및 비평의 자리를 마련하던 풍습.
즉, 살롱은 중세 유럽의 궁정을 중심으로 하여 싹튼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본격적인 살롱은 역시 개성의 자유와 여성 지위의 향상이 두드러지기 시작한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에서 17세기 초에 꽃피었다. ‘대화의 정신’이 어느 국민보다도 투철한 프랑스의 국민성과 합치되었기 때문이다.
피비린내나는 종교전쟁을 거쳐 거칠어진 귀족들의 기질을 우아한 여성들과의 사교로 누그러뜨리면서, 예절과 말씨를 세련시키고자 프랑스왕 앙리4세가 궁정 안에 살롱을 개최한 것이 그 시초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