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7.10.11
- 최종 저작일
- 2007.10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가. 연구의 배경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산업클러스터의 이론적 고찰
1. 산업 클러스터의 개념
2.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특성
3. 산업클러스터의 유형
4. 산업클러스터 구성주체
Ⅲ. 산업클러스터 육성의 해외사례
1.인도의 소프트웨어산업 클러스터
2. 일본의 IT클러스터
3. 뉴욕 실리콘 앨리
4. 필란드 올루 테크노파크
Ⅳ. 국내 산업클러스터
1. 대덕밸리의 IT, 바이오클러스터 : 대학․ 연구소 주도형
2. 울산의 자동차 클러스터 : 대기업 주도형
3. 이천도자기 클러스터 : 지역특화형
Ⅴ. 해외의 성공요인 분석 및 우리 나라의 문제점 도출
Ⅵ.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
Ⅶ. 결론
본문내용
Ⅱ. 산업클러스터의 이론적 고찰
1. 산업 클러스터의 개념 경기도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 2002 12, 경기개발연구원
가. 클러스터에 관한 기존 연구
ꋯ알프레드 마샬(1890) : 특화된 산업이 어떤 지역에 정착하면, 국지화경제에 의해 지리적인 특화가 강화.
ꋯ20세기 신고전파와 경제학자들이 ‘신무역론’과 ‘수확체증’의 관점에서 발전.
: 지리적으로 지역화된 산업일수록 국제적인 경쟁력이 더욱 강화됨.
ꋯOECD는 클러스터 개념에 혁신이론을 가미한 경제지리학적 논의에 바탕을 두고 클러스터를 접근.
: ‘클러스터포커스그룹’에서 클러스터 내의 기술혁신 관행, 지식이전 메커니즘의 차이를 조사, 정책 도출.
ꋯ미국경쟁력위원회의 ‘혁신클러스터 프로젝트’
: 지역단위 클러스터의 성장과 기숙혁신 성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분석틀 개발, 벤치마킹 결과 검토, 주요 정책결정의 효과 등을 분석.
ꋯ영국의 ‘클러스터 정책운영위원회’ : 클러스터의 성장과 발전에 장애가 되는 요인 규명, 정책개발.
나. 클러스터의 개념
ꋯ부품공급업체를 포함한 강한 독립성을 갖는 기업들의 생산네트워크, 대학 ․ 연구소 등 지식생산주체, 브로커 ․ 컨설턴트 등 경제주체간 가교역할을 하는 기관, 고객 등이 생산체계에서 부가가치를 주 수 있도록 연계된 것.
ꋯ전반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한 산업에 속한 유관 기관간의 연계로 이루어진 일군의 조직체
ꋯ특정분야에서 경쟁 및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 전문 공급업체, 용역업체, 관련산업의 기업, 대학 ․ 연구소 ․ 기업 연합체 등 기관들의 결집체
ꋯ혁신 클러스터 : 대학, 공공연구기관, 컨설팅 회사, 지식집약 사업서비스 회사, 브로커 등 지식을 취급하는 조직을 클러스터의 혁신주체에 포함함.
ꋯ산업 클러스터 : 어느 지역의 특정산업에 대한 클러스터 지칭.
협의 - 일정한 지역내에 많은 동일산업 또는 관련산업 업체들이 밀집하여 고도의 수직적, 수평적 분업 관계를 형성하고 독자적인 지역경제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집합적 경제단위체.
광의 - 대학, 공공연구기관, 컨설팅 회사, 지식집약 사업서비스 회사 등 지식을 취급하는 조식인 ‘혁신 클러스터’를 포함.
2.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특성, 체계 경기도 산업클러스터 육성방안, 2002 12, 경기개발연구원
가.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