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대체에너지의 현황
국내의 대체 에너지 보급은 총에너지 사용량 중 1.05%를 대체에너지로 공급(‘99년말)하고 있다.
1차 에너지 사용량의 1.05%인 1,901천toe를 대체에너지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수입 대체 3.2억불을 달성하고 그 외 환경오염 방지, 반도체 등 관련 산업에 기여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또한 1toe당 3.11 CO2 ton 저감함으로써 총 5.9백만톤의 CO2 저감효과가 발생하였다 이는 200MW급 화력발전소 4개의 CO2 발생량이라고 할 수 있다.
OECD 국가는 덴마크 8.5%, 프랑스 4.5%, 미국 4.1%, 일본 2.1% 등으로 대체에너지 공급비중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이다(이는 1998년 실적으로써 2000IEA자료이다). 2010년 공급계획은 한국이 3%, EU 12%(수력발전 포함)이다.
Ⅲ. 대체에너지의 장, 단점
대체에너지는 공해가 없고 무한정, 무가격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밀도가 낮고 간헐적이며 비경제적이다. 또한 에너지량과 질의 관계가 정비례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1) 태양광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태양전지셀로 구성된 모듈과 축전지 및 전력 변환장치로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은 햇빛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한번 설치해 놓으면 유지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또한 태양전지 숫자만큼 전기를 생산하므로 태양전지를 많이 설치 할수록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다. 별도의 기계 가동 부분이 없으므로 소음과 진동 등이 없어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비교적 오랫동안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가 낮아, 많은 수의 태양 전지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 태양전지의 재료는 아직까지 값이 비싼 반도체 재료인 실리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처음에 설치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