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石部第八卷 金石之一 鉛丹
금석부 제 8권 금석의 첫째 연단
(《本經》下品)
신농본초경 하품
【釋名】
이름풀이
黃丹(弘景)、丹粉(《唐本》)、朱粉(《綱目》)、鉛華。
도홍경은 황단이라고 하고, 당본초는 단분이라고 하고, 본초강목에서는 주분이라고 하며, 연화라고도 한다.
【正誤】
오류를 바르게 함
(見粉錫下。)
분석 아래에 나타난다.
【集解】
집해
(《別錄》曰︰鉛丹生於鉛,出蜀郡平澤。 )
명의별록에는 연단은 납에서 나오니 촉군의 평택에서 산출된다고 했다.
(弘景曰︰即今熬鉛所作黃丹也。俗方稀用,惟仙經塗丹釜所須。)
도홍경이 말하길 지금 졸인 납이 황단이 된다. 세속 처방에 드물게 사용되나 오직 선경에서 단을 칠하는 솥에 반드시 있다.
(云化成九光者,當謂九光丹以爲釜爾,無別法也。)
화성하면 9번 빛나니 응당 9광단이 솥이 되니 다른 방법이 없다.
(宗奭 曰︰鉛丹化鉛而成,《別錄》言生於鉛,則蘇恭炒錫作成之說誤矣。)
구종석이 말하길 연단이 납이 되어 생성되니 명의별록에는 납에서 생긴다고 말하니 소공이 주석을 볶아서 만든다는 말은 오류이다.
(不爲難辨,錫則色黯,鉛則明白,以此爲異。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