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안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7.09.29
- 최종 저작일
- 2007.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자세한 사항은 목차를 참고하세요~
-내용과 관련한 그림을 다수 삽입하였습니다.
-각종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참고자료를 명시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의사소통의 정의
2. 의사소통의 과정
1) 발신자(communicator)
2) 전언(message)
3) 매체(medium or channel)
4) 해독과 수신자(decode and receiver)
5) 기호화(encode)
6) 소음(noise)
7) 정보원(source)
8) 목적지(destination)
9) 효과(effects)
10) 피드백(feedback)
11) 의사소통 상황(context setting)
3. 의사소통의 원칙과 기술
1) 원칙
2) 기술
4. 교류분석
1) 상보적 교류
2) 교차적 교류
3) 이면적 교류
5. 영·유아 보육기관에서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방안
6. 영·유아 보육기관에서의 의사소통 위한 고려사항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 TA)은 인간행동과 의사소통을 이해하는 데 있어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다. 교류분서은 자기 자신과 타인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이는 정신과 의사인 버너(Berne)에 의해 개발되었다.
우리 모두는 마음 속에 세 가지의 자아상태(ego state)를 가지고 있다. 즉, `부모의 자아상태(parent ege state : P)`, `성인의 자아상태(adult ego state : A)`, `어린이의 자아상태(child ego state : C)`가 그것들이다. 여기서 부모, 성인, 어린이는 실제의 그것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이 가지는 세 가지 형태의 행동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교류분석에서 교류(transaction)란 두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개개의 대화를 의미한다.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는 쌍방의 자아상태가 서로 교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인 간 교류의 유형은 상보적 교류, 교차적 교류, 이면적 교류로 구분된다.
1) 상보적 교류
상보적 교류(complementary transaction)는 송신자의 어떤 특정한 자아상태에서 보내진 메시지가 수신자로부터 기대하였던 반응을 얻을 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보적 교류는 수신자가 적절한 자아상태에서 송신자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기대하는 반응을 되돌려 보낼 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림 4)에서와 같이 김선생은 이선생의 ‘보호적 부모의 자아상태’로부터 어떤 반응을 얻기를 기대하였으며, 그는 그 기대하였던 반응을 얻음으로써 의사소통이 계속될 수 있게 된다.
또 (그림 5)에서와 같이 상보적 교류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자아상태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 이루어진다. 처음의 경우는 쌍방이 ‘어린이의 자아상태’에서, 다음에는 쌍방이 ‘성인의 자아상태’에서 상보적 교류를 하고 있다.
쌍방간에 상보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공리이다. 상보적 교류는 상대방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주고 즉각적으로 대답을 해준다. 조직 내에서도, 상보적 교류는 가장 생산적이며, 상호간에 논쟁이 없고,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생략)
참고 자료
1. 강문희 외 4명, 유아교육기관, 학지사, 2000.
2. 류윤석,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교육아카데미, 2002.
3. 김혜경, 영유아교육기관경영, 창지사, 2005.
4. 김혜경, 영유아 교육기관의 개원과 운영, 창지사, 2001.
5. 조양자외 3명, 현대 유치원 운영관리, 형성출판사, 1991.
6. 조성일, 장선철,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동문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