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와 노인
- 최초 등록일
- 2007.09.18
- 최종 저작일
- 2007.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사회복지, 노인복지학과 - 고령화 가회와 노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은 누구인가?
1) 노인의 개념
2) 노인의 정의 - 국제노년학회, 노인과 노령선)
2. 노인에 대한 관념
1) 노인&노화에 대한 편견들
2) 노인에 대한 관념이 차이
3. 노화의 이해
1) 노화란?
2) 노화에 대한 설명들 - Hayflick이론, 교차결합 ․ 신진대사 ․ 스트레스 이론, 노화의 유형 - 정상적 ․ 병리적 ․ 성공적 노화
4. 고령화 사회란?
5. 고령화 배경과 추이
6. 고령화 사회의 특성
7. 고령화 사회의 영향
8.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
9. 노인문제에 대한 인식
10. 노년기 경제문제
11. 노년기 건강문제
12. 노년기 역할상실문제
13. 노년기 소외감문제
본문내용
1. 노인은 누구인가?
1) 노인의 개념
․ 개인의 자각에 의한 노인
→ 개인 스스로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 사회적 역할상실에 의한 노인
→ 주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상태에 있는 사람
․ 역 연령에 의한 노인
→ 달력상의 시간에 의하여 일정한 연령(60-65세)에 도달한 사람
․ 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
→ 특수한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영역에 있어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시점을 노인으로 규정함
노인은 ‘생리적 및 생물학적인 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심리적인 면에서 정신기능과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사람, 그리고 사회적인 면에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으로 정의(L. B. Breen)
2) 노인의 정의-국제노년학회
․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생체의 자체 통합 능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 쇠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 생체의 적용능력이 점차로 결손 되고 있는 사람
․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적응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람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정서적, 환경적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과정에 있는 자‘
3) 노인과 노령선
․ 노년기의 범주에 대해 학자들마다 다르게 정의
․ 해비거스트(Havighurst): 후기 성인기인 65세 이후 사망하기까지의 시기
․ 에릭슨(Erikson): 자아의 8단계 발달과정 중 통합과 절망의 양극 감정이 대립하는 성인 후기인 65세 이상의 시기
․ 뉴 가르텐(Neugarten): 노년기의 범주를 55세 이상으로 보고 3개 범주로 분류
- 연소노인(young-old): 55세-64세로, 아직 사회적으로 일을 하고 있으며, 그들의 삶과 사회에서 절정기에 있는 노인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