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핀코팅 실험에 대한 데이터로 어떠한 결과치를 도출하는지 도움을 줍니다
실험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에 이해를 돕습니다
필요한 수식에 대한 필요와 이해를 돕습니다
목차
◆ ◆ 1. 실험목적
◆ ◆ 2. 실험순서
◆ ◆ 3. 실험결과
◆ ◆ 4. 고 찰
본문내용
◆ ◆ 1. 실험목적
스핀 코팅은 회전하는 판 위의 고분자 용액이 원심력에 의해 필름을 형성하는 단속식 공정(Batch process)이다. 고분자 용액의 점도와 스핀 코터의 회전 속도에 따른 필름의 두께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알아본다.
◆ ◆ 4. 고 찰
반도체나 자동차의 특수유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코팅기술을 간단하게 실험실에서 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그 용도를 생각해 보아도 일정부분에서는 균일하게 코팅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실험을 했다.
우선 시료를 만들고서 스핀코터에 고정시키고 우리가 원하는 rpm을 맞추었다. 하지만 회전을 시작하고 나서는 어떻게 된 것인지 rpm은 일정하지 않고 약간씩 변화가 있었다. 어느 정도 우리가 원하는 일정수준을 맞춰서 움직이긴 했지만 계속 일정하지는 않았다. 그렇게 5분이 지나고 UV를 쬐어준 뒤에 코팅된 면을 살펴보았다. 일정하지 않았던 rpm탓인지 육안으로 보기에도 가운데 부분이 살짝 들어가고 가장자리 부분은 중앙부분보다 조금 두껍게 보였다. 그리고 어느 슬라이드에서는 원형 테두리가 보이기도 했고, 불규칙한 무늬가 생기기도 했다. 이러한 필름결합을 만들어 낸 것도 불규칙했던 회전수 때문인 것 같았다. 그리고 다음 과정으로 슬라이드에 코팅된 필름의 두께를 측정했다. 핀셋으로 가운데 부분을 조그맣게 떼어 내어 스케일이 있는 슬라이드에 올려 두께를 측정해야 했다. 이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현미경으로 보는 것이지만 너무나 두께가 얇아서 치수를 읽는 것조차 쉽지 않았던 것이다.
실험을 끝내고서 결과치를 살펴보고 모델식과도 비교해 보니 적지 않은 오차가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마도 코팅하는 과정에서 불규칙했던 rpm을 그 첫 이유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두께를 측정하는 가운데 조각이 조금 더 작았다면 좀더 정확하게 일치한 값을 읽을 수 있었을 텐데, 그 조각이 좀 커서 스케일을 측정하는데서 오차가 생기지 않았나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