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이해-언어에 나타나는 남녀 불평등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07.09.08
- 최종 저작일
- 2005.04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언어의 이해 - 언어에 나타나는 남녀 불평등 핸드아웃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과 언어
★ 남성의 권위주의와 남성언어
★ 남성언어와 여성언어
2. 왜 태풍의 이름은 여성 이름일까?
★ 여성언어는 차별을 받았다.
★ 신사숙녀
3. 성의 평등과 언어의 평등
★ 하느님은 남성인가 여성인가?
★ 언어평등
★ he와 she, 그와 그녀
4. 마무리
본문내용
1. 성과 언어
노총각이라는 단어에는 아무런 부정적인 뜻이 없는데, 노처녀라는 단어에는 부정적인 가치 판단이 붙는것은 순전히 우리의 “태도” 때문이다. 이러한 태도 때문에 똑같은 기질이나 성품이 그 소유주의 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그리하여 남자는 진취적인데 여자는 윤리관이 허술하고, 그는 웅변술이 좋으나 그녀는 말이 너무 많거나 주둥이를 너무 놀리고, 그는 용의주도하나 그녀는 쩨쩨하고 소견이 좁으며, 그는 과감하나 그녀는 간뎅이가 부었고, 남자는 우물 안의 개구리를 벗어나 세계인이 되어야 하지만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 김진우(1985)
★ 남성의 권위주의와 남성언어
어휘 앞에 여라는 말을 붙여서 만든 어휘들을 가만 들여다보면 그 어휘에서 여를 빼버리면 그것이 바로 남자의 경우에 해당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말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하나는 여+명사의 어휘가 나중에 생겼다는 것을 말하고, 다른 하나는 여가 붙기 전의 원래 어휘가 남성을 가리키는 것이었다는 점이다.즉, 과거 의사는 모두 남자였으므로 굳이 남의사라는 말을 붙일 필요가 없었고, 기자나 교수도 그 자체로 남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던 셈이다. 언어가 사회적 산물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과거의 사회는 남성위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최상진 외(2003), ≪언어 이야기≫, 경진문화사. - 9장 성과 언어,
이익섭(2000), ≪사회 언어학≫, 민음사. - 4장
참고URL : http://shi.ka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