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본초강목 물부분 제5권 우수 매우수 액우수 요수

본초강목 물부분 제5권 우수 매우수 액우수 요수 원문 및 한글번역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8.31 최종저작일 2007.08
6P 미리보기
본초강목 물부분 제5권 우수 매우수 액우수 요수
  • 미리보기

    소개

    본초강목 물부분 제5권 우수 매우수 액우수 요수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우수 매우수 액우수 요수

    본문내용

    이시진이 말하길 나는 일찍이 우박의 의학정전에서 말함을 살펴보았다.
    (立春節雨水,其性始是春升生發之氣,故可以煮中氣不足、清氣不升之藥。)
    입춘절기의 빗물은 성질이 비로소 봄에 상승하고 생발하는 기가 있으므로 중기의 부족과 청기가 상승하지 못하는 약에 달인다.
    (古方婦人無子,是日夫婦各飲一杯,還房有孕,亦取其資始發育萬物之義也。)
    고대 처방에 부인에 자식이 없으면 이 날 부부가 각각 한 잔을 마시면서 합방하여 임신을 하면 또한 만물을 시작하며 발육하는 뜻에 바탕한다.
    梅雨水
    매우수
    【主治】
    주치
    洗瘡疥,滅瘢痕,入醬易熟。(藏器)
    매우수는 창개를 씻고 반흔을 소멸케 하니 장에 넣으면 쉽게 익는다. (진장기)
    【發明】
    발명
    (藏器曰︰江淮以南,地氣卑濕,五月上旬連下旬尤甚。)
    진장기가 말하길 강수와 회수의 이남은 지기가 낮고 습하니 5월상순에서 하순까지 더욱 심하다.
    (《月令》土潤溽暑,是五月中氣。)
    월령에는 토가 습윤하고 적신 더위이니 오월의 중기가 된다.
    (過此節以後,皆須曝書畫。)
    이 절기를 지난 이후에는 모두 반드시 글과 그림을 햇볕에 말릴 수 있다.
    (梅雨沾衣,便腐黑。)
    매우가 옷을 적시면 곧 썩어 흑색이 된다.
    (浣[澣]垢如灰汁,有異他水。)
    재즙처럼 때를 씻음에 다른 물과 차이가 있다.
    (但以梅葉湯洗之乃脫,餘並不脫。)
    다만 매화잎탕으로 씻으면 없어지니 나머지는 빠지지 않는다.
    (時珍曰︰梅雨或作黴雨,言其沾衣及物,皆生黑黴也。)
    이시진이 말하길 매우나 혹은 훈우가 되면 옷과 만물을 적시므로 모두 흑색 곰팡이가 생긴다고 말한다.
    (芒種後逢壬爲入梅,小暑後逢壬爲出梅。)
    망종일 뒤부터 임일에 만나서 매실에 들어가고 소서 뒤에는 임일에 만나면 매실이 나온다.
    (又以三月爲迎梅雨,五月爲送梅雨。)
    또한 3월에 매우를 맞이하고 5월에 매우를 보낸다고 했다.
    (此皆濕熱之氣,鬱遏熏蒸,釀爲霏雨。)
    이는 모두 습열의 기가 울체해 막혀 훈증하여 양성하여 비우가 됨이다.
    (人受其氣則生病,物受其氣則生黴,故此水不可造酒醋。)
    사람이 기를 받으면 병이 생기고 만물이 기를 받으면 곰팡이가 생기므로 이 물은 술이나 식초를 만들 수 없다.
    (其土潤溽暑,乃六月中氣,陳氏之說誤矣。)
    흙이 습윤하고 더우며 6월의 중기는 진장기의 설명의 잘못이다.

    液雨水
    액우수
    【主治】
    주치
    殺百蟲,宜煎殺蟲消積之藥(時珍)。
    액우수는 모든 벌레를 없애고 달이면 살충하고 적을 소멸케 하는 약이 마땅하다.(이시진)

    【發明】
    발명
    (時珍曰︰立冬後十日爲入液,至小雪爲出液,得雨謂之液雨,亦曰藥雨。)
    이시진이 말하길 입동 뒤에 10일에는 액에 들어가고, 소설이 되면 액으로 나오게 되니 비를 얻으면 액우라고 말하니 또한 약우라고 말한다.
    (百蟲飲此皆伏蟄,至來春雷鳴起蟄乃出也。 )
    모든 벌레가 이를 마시면 잠복해 숨으니 입춘의 우레소리가 오면 잠복에서 일어나 나온다.

    水部第五卷 水之一 潦水
    수부 제 5권 물의 첫째 요수
    (《綱目》)
    본초강목
    【釋名】
    이름 해석
    (時珍曰︰降注雨水謂之潦,又淫雨爲潦。)
    이시진이 말하길 내려 주입하는 빗물을 료라고 말하니 또한 넘치는 물을 료라고 한다.
    (韓退之詩 云,潢潦無根源,朝灌夕已除,是矣。)
    한퇴지의 시에서 말하길 횡료는 근원이 없고 아침에 붓다가 저녁에는 이미 제거됨이 이것이다.
    【氣味】
    기미
    甘,平,無毒。
    요수는 감미, 평기 독이 없다.
    【主治】
    주치
    煎調脾胃、去濕熱之藥(時珍)。
    요수의 주치는 비위를 조리하고 습열을 제거하는 약이 된다.(이시진)

    【發明】
    발명
    (成無己曰︰仲景治傷寒瘀熱在裏,身發黃,麻黃連軺赤小豆湯,煎用潦水者,取其味薄則不助濕氣利熟也。)
    성무기가 말하길 장중경이 상한 어혈과 열이 속에 있음과 몸에 황달 발생함에 마황연초[교]적소두탕이니 요수로 달여 미가 엷음을 취하여 습기를 돕지 않고 익음에 유리하게 한다.

    참고자료

    · 본초강목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