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우리나라와 일본의 정당정치 비교분석(A+파포)
- 최초 등록일
- 2007.08.07
- 최종 저작일
- 2007.08
- 2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일 양국의 정당정치에 대하여 상세히 조사분석하여 조원 7명 모두 에뿔 받은 파포 자료입니다. 일주일동안 정말 열심히 만든 자료라 내용, 구성, 디자인 모두 만족하실만큼 좋습니다.
자세한 것은 목차 참고해주시면 도움이 되실꺼에요~
좋은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목차
1.서론
2.한국과 일본의 정당 시스템비교
3.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경험 비교
4.한국과 일본의 국민성 비교
5.분석의 한계점
6.결론
본문내용
서론
연구 방법
정당 정치는 단순히 정치에 관한 역사 혹은 정당의 성격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적인 가치관과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된 경험의 종합적인 산물 가장 많은 부분의 특징들을 대변해 줄 수 있는 ‘문화’ 라는
측면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문화와
정당체계 시스템 간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각종서적과 논문을 통한 비교
군부독재정권 (박정희 전 대통령)
1972년 12월 27일 유신체제 출범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발아 실패
제 17대 총선 – 3김 정치의 종결
지역주의, 정당정치 중심 에서
세대 및 이념 중심으로 변화
유교에 바탕을 둔 가부장제 발달
가족집단의 권위주의적 성격
조선시대부터 발달
효율적인 의사결정 필요
유교사상은 봉건적 영주 가신관계 영항
정교일치적 군주 천명사상
정치세력의 상호 견제의 역할
서양의 정당정치와는 다르게 지역기반
의견교류의 장으로서의 정치
서양 사상과 한국 사상의 융합
→ 한국 정당정치의 독특한 성격 양산
인간 상호 관계 및 인간과
국가의 관계에 관해 일본인이
품고 있는 관념 전체의 기초
천황에서 천민까지 명확하게 규정된 철저한 카스트적사회로서의 일본
일본 역사내에서 수많은 변천을
거듭한 천황의 권력과 권위
참고 자료
단행본
다치바나 다카시, 『멸망하는 국가』(서울:열림원, 2006)
루스 베네딕트, 『국화와 칼』(서울:을유문화사, 2005)
손태현, 『일본과 한국, 그 알몸을 벗긴다』 (부산: 다솜출판사, 2001)
제럴드커터스, 『흔들리는 일본의 정당저치: 전환기 일본 정치개혁 구조와 논리』(서울: 한울, 2003)
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서울: 사계절,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