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한미 FTA에 따라 국내 제약업계가 받게 될 영향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
- 최초 등록일
- 2007.07.17
- 최종 저작일
- 2007.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국제경영] 한미 FTA에 따라 국내 제약업계가 받게 될 영향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
국제경영론 과목의 지난학기 중간레포트이고, 총점 중 레포트 점수 35% 반영에 성적은 A+룰 받았습니다.한미 FTA에서 의약부문에 관한 체결 주요내용, 이번 FTA가 국내 제약업체에게 미치게 될 영향, 그리고 의약부문에서 왜 이렇게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많은 도움 얻으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서론
2. 한미 FTA협상 내용 설명
3. 한국 제약업계의 예상 피해정도
4. 국내 제약업계의 대처방향
5. 결론
6. 영문 요약
본문내용
1. 서론
현재 FTA는 Global Business 환경하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통합 활동으로 1990년대 WTO체제 출범 이후에 그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2005년에는 전 세계 무역 중 지역무역협정내의 무역비중이 55%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거스를수 없는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이유에는 FTA가 개방을 통해 경쟁을 심화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무역부문의 중요한 개혁조치로 부상하였고, 무역 및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는데 대한 인식 확산과 FTA체결이 외국인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FDI)유치에 큰 도움이 된 사례가 각국에 교훈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WTO는 다자간 협상으로 장기간이 소요됨은 물론 각국간의 이해관계 상충으로 서로 만족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해내기가 어려운 반면 FTA 체결시에는 각국이 이득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의 경제,정치,군사방면에서의 급성장과 미일협력의 강화추세에서 동북아 지역의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는 FTA의 체결 확대가 필수불가결한 상황에 놓여있기도 하였다.
이에따라 한국은 2004년 4월 칠레와의 FTA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싱가포르, ASEAN, EFTA(유럽자유무역연합)과의 FTA가 기체결 되었거나 발효를 앞두고 있으며, 그밖에 캐나다, 멕시코, 중국, 일본 등과도 협상이 준비중이거나 진행중이다.
참고 자료
1.국정홍보처 국정브리핑 (2007. 4. 4)
2.The Pharmaceutical Research and Manufacturers of America (PhRMA)
http://www.phrma.org/news_room/press_releases/phrma_statement_on_the_u.s.-korea_free_trade_agreement/
3.파이낸셜 뉴스 “[제약사 FTA 전략] 한미약품,매출 9% 신약 R&D 투자” (2007. 4. 29.)
4.머니투데이 “중외제약 한미FTA? 오히려 수혜” (2007. 4. 5.)
5.머니투데이 “FTA, 바이오에 기회될까” (2007. 4. 11.)
6.머니투데이 “제약업체 한미FTA, 수출로 뚫는다” (2007. 4. 19.)
7.메디파나 뉴스 “제약업계, 투명거래로 FTA파고 넘는다” (2007.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