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향가 모죽지랑가 작품론
- 최초 등록일
- 2007.07.16
- 최종 저작일
- 2007.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향가 `모죽지랑가`작품론입니다.
특히 제작시기와 제작배경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관련 설화와 역사적 배경
2.1.1. 관련 설화
2.1.2. 배경 설화를 통해 본 인물 분석 - 죽지와 득오를 중심으로
2.1.3. 화랑도의 성격
2.2. 「慕竹旨郞歌」원문 해독과 의미 구조 분석
2.1.1. 「慕竹旨郞歌」원문 해독
2.1.2. 「慕竹旨郞歌」의 의미 구조 분석
2.3. 「慕竹旨郞歌」제작 시기와 제작 동기
2.4. 「慕竹旨郞歌」문학적 해독과 시문학적 의의
3. 결론
본문내용
「慕竹旨郞歌」는 『삼국유사』2, 「효소왕대 죽지랑」에 배경설화와 같이 전하는 향가이다. 향가 가운데 「처용가」와 함께 8구체에 해당하는 작품이며, 「찬기파랑가」와 마찬가지로 화랑을 기리는 노래이다.
다른 향가들이 작자문제로 의견이 분분한 것과는 달리 「慕竹旨郞歌」는 사뇌가계 향가의 작자 가운데 실명을 지닌 유일한 작가가 있는 노래이다.
이 노래에 대해서는 그 동안 주로 창작 년대와 그 창작의 동기 면에서 서로 엇갈린 주장이 계속되어 왔고, 그에 따라 작품의 해석도 구구하게 이루어져 왔다.
여기서는 배경 설화를 자세히 분석하여 논란이 많은 제작 시기와 죽지랑과 득오의 관계를 통해 본 제작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그리고 작품의 해독과 의미 구조 분석을 통해 「慕竹旨郞歌」의 시문학적 의의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다.
2. 본론
2.1. 관련 설화와 역사적 배경
2.1.1. 관련설화
제32대 효소왕(孝昭王) 때에 죽만랑의 무리 가운데 득오(得烏 : 得谷이라고도 함) 급간(級干)이 있었다. 풍류황권(風流黃券)에 이름을 올려놓고 날마다 출퇴근하였는데 열흘이 지나도 보이지 않았다. 죽만랑이 그의 어머니를 불러 “당신 아들이 어디에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그의 어머니가 “당전(幢典) 모량부의 익선 아간이 내 아들을 부산성의 창고지기로 임명했습니다. 빨리 가느라고 미처 인사를 못했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참고 자료
- 권두환, 『고전시가』,해냄, 1997.
- 李雄宰, 향가에 나타난 서민의식, 백문사.
- 尹榮玉, 한국의 고시가, 문창차, 1995.
- 황패강, 『향가 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가, 2001.
-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최철,『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 鄭尙均, 『한국고시대시문학사연구』, 한신문화사, 1984.
- 김종우, 『향가 문학 연구』, 이우출판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