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제8차 국어과 교육과정(7차 개정시안)
*보*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우리나라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시안 <8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부분을 정리한 자료입니다~많은 도움이 돼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 론Ⅱ.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1. 구한말의 국어과 교육
2. 일제하의 국어과 교육
3. 미 군정하의 국어과 교육
4. 제 1차 교육과정
5. 제 2차 교육과정
6. 제 3차 교육과정
7. 제 4차 교육과정
8. 제 5차 교육과정
9. 제 6차 교육과정
10. 제7차 교육과정
Ⅲ. 제 8차 국어과 교육과정
1. 개정의 방향과 중점
2. 주요 개정 내용
가. 성 격
나. 목 표
다. 내 용
라. 방 법
마. 평 가
4.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가. 듣 기
나. 말하기
다. 읽 기
라. 쓰 기
마. 문 법
바. 문 학
IⅤ.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행과 제8차 교육과정의 비교표
1. 성 격
2. 목 표
3. 내 용
V.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국어 교과는 한국인의 삶이 배어 있는 국어를 창조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미래 지향의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게 하며,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게 하기 위한 교과이다. 국어 교과에서 학습자는 국어 활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담화 또는 글의 내용을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사상과 정서를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국어 현상을 탐구하여 국어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국어에 대한 의식을 높인다. 그리고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거나 생산하면서 인간의 다양한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정서를 함양한다. 이를 통해 국어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 성숙한 문화 시민의 소양을 기를 수 있다.
국어 교과의 교수ㆍ학습은 정확하고 효과적인 국어 활동, 국어의 발전, 그리고 국어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요구되는 능력과 자질을 기르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이 유기적으로 통합되게 운용한다. 특히 국어 교과의 학습은 학습자가 국어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국어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게 운용한다.
이러한 국어 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맞추어 교육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국민과 각계각층의 교육 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를 탄력적․체계적으로 수렴․반영함으로써 현장 적합성이 높은 교육 정책을 구현하고 교육 수요자의 만족감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부의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체제는 한국의 교육과정 개정사의 중요한 정책의 변화를 뜻한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과 같이 모든 교과가 일정한 기간에 동시에 개정하는 이른바 ‘전면적․주기적’ 개정 정책으로부터 교과의 여건에 따라 언제든지 ‘부분적’이고 ‘수시’로 교육과정을 개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다만 이러한 정책 변화를 뒷받침할만한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었는가의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운영 및 활성화 방안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 이른바 교육과정의 ‘수시’ 개정 정책의 구현이자 ‘주5일 수업제’라는 사회 변화가 교육과정 개정의 직접 동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은 일차적으로 교육 정책과의 관련성에서 찾을 수 있다. 즉, 국어 교과라고 해서 ‘주5일 수업제’, ‘교육과정 자율권 확대’, ‘방과 후 학교 도입’ 등 주요 과제 해결과 무관하지 않다는 점에서 그렇다
참고 자료
1. 기본자료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세원문화사, 2007.
이인제 외,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교육부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 단행본
권영민, 『국가수준 교육과정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 교육과정연구 제22권 제1호, 2004.
김대행, 『국어교육의 목표와 영역』, 선청어문 제25집, 1997.
김수업, 『국어교육의 길』, 나랏말, 1997.
박영목, 한철우, 윤희원, 『국어과 교수 학습론』, 교학사, 2001.
이경섭, 『교육 과정 쟁점 연구』, 교육과학사, 1999.
이대규, 『국어 교육의 이론』, 교육과학사, 1998.
전은주,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3. 논문
김정우, 「시 해석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김창원․김혜영․유영희 외, 「문학영역 및 과목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3.
박인기,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목표에 대한 검토」, 한국초등국어 교육학회, 2000.
송현정․이양락․박순경․정영근,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송현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원, 2004.
염은열, 「국어 활동 영역과 문학 영역의 관계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5.
이도영, 「국어 지식 교육의 현실과 혁신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이인제, 「국어과 교육 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이인제, 「국어 교과서 개발의 실상과 그 체제의 개선」,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4.
전은주,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03.
최미숙, 「국어교육 평가의 원리와 실제-'통합'의 원리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