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우주과학사에 대하여 사료적 그리고 역사적 자료를 근거로 조사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
각각의 주제마다 사진이 첨부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해 주세요
목차
들어가면서...
PART I. 다른 나라의 우주과학
⑴ 이론분야
⑵ 실천분야
PART II. 우리나라의 우주과학
⑴ 로켓(발사체) 분야- 지구 탈출 속도 11.2km/s 와의 싸움
⑵ 위성분야
⑶ 나로 우주센터- 한국 우주과학의 미래
PART II′. 북한의 우주과학
PART III. 번외番外
⑴ 스페이스 클럽the space club
⑵ X-프라이즈
⑶ 국제 우주정거장(I.S.S)
⑷ 세계 최고 한국 우주과학 기술
나가면서...
본문내용
PART II. 우리나라의 우주과학
⑴ 로켓(발사체) 분야- 지구 탈출 속도 11.2km/s 와의 싸움
① 로켓의 원조는 중국
송나라(960~1127) 시절에 이미 화약을 만들어 불꽃놀이를 했고 1232년 칭기즈칸의 셋째아들 오가타이 왕자가 금나라 수도 변경을 침공해 왔을 때 「비창전飛槍箭과 비도전飛刀箭」이란 화전을 사용했다고 한 다. 화전에 압도당했던 몽고는 즉시 기술을 도입하였고 그 기술이 인도로 전해져 18세기말 인도를 침공한 영국에 대항했으며 영국은 또 이보다 나은 화전을 개발하여 프랑스의 나폴레옹 군과 싸울 때 사용했다고 한다. 그 후 명중률이 높은 대포와 기관총이 등장하면서 2차 세계대전말까지 많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② 중신기전中神機箭
고려 우왕 3년(1377),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연구 개발하기 위한 화통도감이란 기관을 설치하고 주화走火 라는 불화살을 만들었다. 그 후 세종 30년(1448)에 완성된 「신기전神機箭」이란 로켓화살 무기를 만들 기도 했다. 대중소 세가지 종류가 있었는데 중국식 화전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중에 「중 신기전中神機箭」이 유명한데, 1565년 발행된 국조오례서례의 병기도설을 보면 100개가 넘는 다연발 발 사대火車를 이용하여 한번에 발사했다고 한다. 또 그 시기에 「석류화전石硫火箭」이란 것도 있었는데 이 것은 일본에서 수입하던 유황을 대신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석류황을 원료로 사용했다.
참고자료
· 알기쉽고 재미있는 항공 우주 이야기, 임달연, 고려원, 1993
· 과학동아, 동아일보사, 2003년 11월호
· 퍼퓰러사이언스, 한국일보사, 2003년 5월호
· 물리학과첨단기술, 한국물리학회, 2003년 4월호
· 북한 미사일 위협과 우리의 대응방향, 문장렬(육군 중령(육사 38기) 물리학박사), 국방부, 1998
· 아이뉴스24 2004.03.30
· 우리 인공위성 이야기- http://my.dreamwiz.com/cecilias/home.html
· 한국 항공우주 연구소- http://www.kari.re.kr/
· 과학위성 2호 계획- http://stsat2.kari.re.kr/
· 무궁화 5호 관련 기사- http://www.kdb2000.co.kr/Note304203.htm
· 과학위성2호 관련기사- http://news.empas.com/show.tsp/20040322n00219/
· 위성 관련기사- http://rs.or.kr/ss13_newslist.asp
· KSVL 개발계획- http://rocket.kari.re.kr/plan/kr3sr100.html
· KBS 신화창조- http://asx.kbs.co.kr/vod.php?title=신화창조의비밀&key=597&url=1tv$sinwha$040227.asf
· 항공우주연구정보센터- http://aric.inha.ac.kr/
· 동아사이언스 기사- http://www.dongascience.com/
·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계획- http://www.komes.or.kr/atmos/atmos12_4/choi.pdf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