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단 칠정론에 대하여 사료적 그리고 역사적 자료를 근거로 조사 작성한 리포트 입니다.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해 주세요
목차
1. 사단 칠정론1.1 논쟁의 시작
1.2 사단 칠정의 개념
1.3 주희의 사단 칠정
1.4 사단․칠정 논쟁이 주자학에서 갖는 의의
2. 조선시대에 드러난 사단 칠정론
2.1. 이황과 기대승의 입론 근거
2.2.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논쟁
2.3. 분리된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2.4. 퇴계의 사단 칠정론
2.5. 고봉 기대승의 사단 칠정론
3. 이황, 기대승의 사칠논쟁에 대한 결론
4. 사단 칠정론에서 정약용의 역할
4.1. 성리학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이이의 이론(기발론(氣發論)의 긍정)
에 대한 해석과 평가
4.2. 성리학의 사단칠정론에 대한 이황의 이론에 대한 해석과 평가
4.3. 성리학적 사단 칠정에 대한 정약용 자신의의 관점
본문내용
1. 사단 칠정론1.1 논쟁의 시작
고려 말 회헌(晦軒) 안향(安珦)과 상당(上黨) 백이정(白頤正)에 의해서 주자학이 도입된 이래 거의 200여 년의 시간이 흘러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과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 거대한 석학들이 잇따라 나타남으로써 조선 시대의 주자학이 비로소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의 주자학은 들어온 초기부터 중국의 경우처럼 주자학 발생의 전제 조건이 되는 자연 과학이나 경제적 토대 등 사회적 기반 조건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통치 이념으로서 기능을 무척 중시했던 신진 사대부들에 의해 불교를 대체하는 일종의 정치 이데올로기로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조선초기 유학이 형식만 있고 내용은 없는 정치 수단이라는 비난을 받는 것은 대표적인 국가 통치 방법으로서의 정치 이론에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초기 주자학의 자기 한계성은 이언적과 서경덕에 이르러 점차 해소되기 시작하지만, 그들은 주로 이기론을 중심으로 자신의 학문적 체계를 수립했고 조선조 주자학의 본격적인 논란거리였던 심성론(心性論)의 체계를 수립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곧 세계관과 인간관이 일관성을 지니는 논리적 정합성을 획득하지 못했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 중기 주자학의 역사적 성격을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철학적 전환은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일어났던 사칠리기 논쟁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비록 이전에 이언적과 조한보 사이에 있었던 무극태극 논쟁이 있었지만, 이는 도가와 불가 또는 육구연(陸九淵)의 입장에서 무극과 태극을 논의하였던 손숙돈과 조한보간의 무극태극 논쟁에 대해 이언적이 일방적으로 잘못된 점을 지적하여 비판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서로 대립되는 두 가지 주장이 부딪치는 논쟁으로서의 성격이 약하다. 그에 비해 이황과 기대승 1527(중종 22)~1572(선조 5) 조선 선조 때의 성리학자. 자는 명언(名彦), 호는 고봉(高峰). 1558년 문과에 급제한 후 선조 때에 벼슬이 대사간에 이르렀으나, 뜻에 맞지 않아 그만두고 병을 얻어 귀향하다가 고부에서 객사하였다. 이퇴계와 성리학을 문답하여 사단칠정을 주제로 한 편지 왕복만도 8년을 계속했을 뿐 아니라 후세 유학자들이 이 문제를 언급하지 않은 이가 없었다.
사이에 진행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본격적으로 주자학이 수입되어 연구된 결과 주자학 자체가 지니고 있었던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재정리하는 입장에서 논쟁을 전개한 것이므로, 한국 주자학의 전개 양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자못 크다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2.민족과 사상연구회 편저, 『사단칠정론』, 서광사
3.양재혁 지음, 『동양철학』, 소나무
4.금장태 지음,『다산 정약용』,P145-151, P170-171, 성균관대학교출판부
5.한형조 지음,『주희에서 정약용으로』, P 121-146, 세계사
6.이홍직 편저, 국사대사전, 민중서관
- 참고문헌 2
김기현,[퇴계 사단칠정론], 민족과사상연구회, [사단칠정론](서광사,1992)
성태용,[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 민족과사상연구회,[사단칠정론`(서광사 1992)
유정동,[융성기의 성리학설], [한국사상대계] IV(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4)
이상은,[이황의 철학], 한국 철학회,[한국철학연구](동명사,1982)
이해영,[퇴계사단칠정론의 논거에 관한 검토], [유교사상연구]3집 (유교학회,1988)
[高峰集] (민족문화추진회, 1989)
[四書集註]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81)
[二程遺書](상해고적출판사, 1991)
[朱子文集](중화서국 1936)
[朱子語類](상해고적출판사)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1989)
진 래, [주희철학연구](중국사회과학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