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명
1. 명의 성립
2. 명의 정치
가. 홍무제의 정치
나. 명나라 중앙정부의 조직 및 각 관직의 품계
Ⅱ. 조선
1. 중앙의 정치 체제
가. 의정부 서사제와 육조직계제
나. 비변사와 이조전랑 자대제
2. 지방 행정 조직
가. 관찰사와 수령
나. 향리(鄕吏)와 토관(土官)
다. 면리제
3. 양반 관료제
가. 유품(流品)
나. 양반 관료제의 특징
4. 과거제와 학제
가. 과거제
나. 학제
Ⅲ. 가마쿠라 막부
1.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2. 가마쿠라 막부 정치의 주요 개념
가. 고케닌 제도
나. 지토(地頭)와 슈고(守護)
다. 싯켄(執權) 정치
라. 가마쿠라 막부의 직제
마. 은혜와 봉공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명의 성립
명의 태조 주원장은 원나라의 정치가 문란하고 국력이 쇠진한 틈을 타 한족 국가 부흥의 기치를 높이 내걸고 일어난 백련교의 한산동․유복통을 수령으로 하는 곽자흥의 부하가 되었다. 주원장은 차츰 공을 세워 두각을 나타내면서 장사성․방국진 등의 군웅을 물리치고 1368년 명나라를 세워 남경에 도읍하였다.
홍무제는 원의 잔존세력인 북원을 제거하기 위해 몇 번 몽고에 원정군을 파견하였고 1388년에는 노몬한 부근에서 그 본군(本軍)을 섬멸하였다. 그 이후에도 자주 파병하여 내몽고의 요지를 점거하였다.
2. 명의 정치
가. 홍무제의 정치
중국을 통일한 홍무제가 정치적으로 주력한 것은 첫째, 오랫동안의 전화에 시달린 백성들에게 휴식을 제공하여 생산을 촉진시킨 일이었다. 홍무제는 백성들에게 휴식을 제공하고 생산을 촉진시키는 정책으로 세금의 경감과 면세를 실시하였다. 특히 수리 사업에 주력하여 생산을 장려하고 백성들의 생활 안정에 역점을 두는 정책을 폈다. 동시에 측근 유자(儒者)들의 헌책(獻策)에 근거하여 몽고의 풍속, 습관의 일소를 꾀하였고 전통적인 유고의 이념에 의한 한민족왕조의 재건을 목표로 하였다.
홍무제의 또 다른 정책으로서 특필할 만한 일은 행정기구를 정비하여 권력을 황제에게 집중시킨 일이었다. 원나라 말기의 행정 체계는 부패하여 행정 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었다. 이런 사실을 직접 체험한 홍무제는 행정 기구의 정비와 법률의 제정, 집행에 큰 힘을 쏟았다.
참고자료
· 마쯔마루 미찌오 외 지음, 조성을 옮김, 중국사개설, 한울 아카데미, 1990
· 김희영 지음, 이야기 중국사3, 청아 출판사, 2004
· 박천우 외, 한국사 강좌, 홍문당, 1995
· 신종대, 일본 중세 가마쿠라 막부의 정치기구에 관한 연구, 일본어문집 제5집, 1998
· 신종대, 가마쿠라 막부 성립기의 정치 상황에 관한 연구, 20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