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병변장애에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7.06.25
- 최종 저작일
- 2004.05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뇌병변 장애의 전반적인 이론입니다.
자세한 것은 목차를 보시면 됩니다.
목차
Ⅰ. 뇌의 구조와 기능
Ⅱ . 뇌병변 장애의 이해
1. 뇌병변장애의 정의
2. 뇌병변 장애의 판정기준
3. 뇌병변 장애의 종류와 그에 따른 원인
Ⅲ. 뇌병변 장애인 현황
1. 출현률
2. 장애부위 및 형태
3. 장애정도
4. 장애 발생시기
5. 장애원인
6. 뇌성마비
Ⅳ. 뇌병변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
1. 사회 경제적 특성
2. 장애발생
3. 보호여부
4. 보장구
5. 여가활용
6. 재활기관
7. 생활 만족도 생활환경
8. 등록제도 ․ 복지 서비스
9. 취업 및 직업재활
Ⅴ. 뇌병변 장애인 관련 정책
1. 보건복지부 시책
2. 정부시책
Ⅵ. 결론
본문내용
Ⅰ. 뇌의 구조와 기능
우리 인체는 수많은 핏줄로 이어져 있으며, 인간들은 혈관과 더불어 늙는다. 이들 핏줄 가운데 특히 뇌혈관은 인간의 건강한 삶과 관계가 깊다. 현대에 이르러 인간의 수명은 크게 늘어났으며, 수명이 늘어난 만큼 뇌혈관에 갖가지 질환이 발생할 위험성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크게 보아 우리 몸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눌 수 있는데, 뇌혈관과 관계가 깊은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져 있다. 뇌는 딱딱한 두개골에 싸여 있고, 두개골 안으로는 경막 ․ 지주막 ․ 연막등 3층의 뇌막이 있어 뇌를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지주막하에는 뇌척수액이 있어 뇌를 보호하고 있다.
이렇게 몇 겹의 장치로 보호되고 있는 우리 몸의 뇌는 대뇌, 간뇌, 뇌간, 소뇌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좌 ․ 우 반구로 되어있는 ‘대뇌’는 뇌의 가장 큰 부분이며, 이는 다시 전두엽 ․ 두정엽 ․ 측두엽 ․ 후두엽으로 나눈다.
대뇌는 감각신경을 통해 온몸에 운동명령을 내리며, 그 외 사고 ․ 판단 ․ 감정 ․ 기억 ․ 언어 등의 인지기능 들을 맡아본다. 전두엽(Frontal lobe)에서는 사교의 조직. 도덕적 행동과 신체운동을 조절하고 두정엽에서는 감각을 해석(통증, 온도, 압력, 몸과 사지의 자세인식, 신체상 장소에 대한 지남력에 관여)한다. 또한 측두엽은 듣기, 기억에 관계, (변연계와 함께) 감정표현에 관계한다. 마지막으로 후두엽은 시각적 해석을 하며 언어생성을 조정한다.
간뇌의 대표적 구조물인 ‘시상’은 운동신경 ․ 감각신경 등 신경계의 통로가 되는 곳으로, 이곳에 이상이 생기면 운동마비 ․ 감각장애 ․ 이상운동 ․ 치매 ․ 시야장애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참고 자료
■ 참고 문헌과 자료
․ 장애인 복지론(2002), 장영숙 이현지 공저. 현학사
․ 뇌졸중 알아야 이긴다(2002), 김성학 신현대 공저, 홍신문화사
․ 한국 장애인 실태조사(2000), 한국 보건 사회 연구원
․ 장애인 복지 실천론(2003), 김미옥, 나남
․ 네이버 www.naver.com
․ 엠파스 www.empas.com
․ 보건복지부 www.mohw.go.k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www.kihasa.re.kr
․ http://www.duksan.or.kr/pds/pds/1-5장.hwp
․ http://www.molun.org/admin/board/bokjiboard/upload/2003장애인 재활보조기구
․ http://www.seocho.go.kr/edu/edu1/7재활보조기구무료교부.hwp)
․ http://www.freeget.net/main/fg01/P_FG01020100_L.php?mnu_no=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