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7.06.22
- 최종 저작일
- 2007.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판소리의 명칭
2. 판소리의 개념
3. 판소리의 성격
4. 판소리의 기원 발생설
5. 판소리의 역사와 발달과정
6. 판소리의 3요소
7. 제
8. 판소리의 음악적 측면
9. 판소리의 문학적 특성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우리 민족의 정서와 감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는 판소리는 언뜻 가까워 보이면서도 멀리 있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말을 마음 깊이 새기고는 있으면서 이론적으로는 알고 있을지 몰라도 실제로는 너무나 멀리 있는 듯 하다. 우리 세대의 대부분은 판소리 공연은 텔레비전에서나 보는 것이고 - 채널을 돌리다가 판소리가 나오면 다시 다른 채널로 돌려버릴지 모른다 - 직접 공연장을 찾아가는 것은 생각해 보지도 않았다. 우리의 민족문화예술인 판소리가 왜 이다지도 멀리 와버렸을까?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자랑스러운 판소리에는 서민들의 진솔한 삶이 담겨있고 역사가 숨쉬고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판소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Ⅱ본론
1. 판소리의 명칭
판소리라는 명칭은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정확하지가 않다. 누가 어느 날부터 이것을 판소리라고 부르자 라고 했다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판소리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자세히 알 길은 없다. 판소리라는 말이 처음으로 등장한 문헌은 정노식(김제 만경 출신, 해방 직후 월북)이 1940년에 펴낸 『조선창극사』라는 책이다. 이 책에서는 창극과 판소리를 정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판소리라는 명칭은 그 이전부터 쓰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는 판소리라는 말을 그렇게 자주 쓰지는 않는데 이 때만 해도 판소리라는 명칭이 널리 쓰이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전에는 ‘창’이나 ‘소리’, ‘잡가’, ‘광대소리’, ‘극가’, ‘창극조’ 등의 용어로 불렸다.
참고 자료
강등학 외, 『한국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강한영, 『판소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김대행, 『우리시대의 판소리 문화』, 역락, 2001
김대행 외,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김승호,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이해」,
조동일· 김흥규 편, <판소리의 장르 규정>, 『판소리의 이론』, 창작과 비평사, 1978
조동일 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4.
최동현, 『판소리 연구』, 문학아카데미사, 1991.
최동현, 『판소리 이야기』, 인동,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