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석묘에 관한 내용을 살펴본 후 영남지방의 지석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1. 거석문화
1) 거석문화의 정의와 분류
2) 거석문화의 기원과 전파
2. 한국의 거석문화
1) 한국 지석묘의 편년과 형식분류
2) 북한지석묘의 특징
3) 단군릉 발굴과 대동강 문명론
4) 지석묘의 기능과 부장품
3. 영남지역의 지석묘문화
1) 형식과 편년
2) 입지규모와 출토유물
3) 사회성격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지석묘의 규모와 수에 비하여 부장품이 나온 예를 비교적 적고, 그나마 출토된 유물의 수와 종류도 매우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주로 화살촉과 돌검이 많이 출토되었다. 그밖에 돌도끼, 가락바퀴 등의 석기와 민무늬토기계통의 토기류, 옥으로 된 장식품과 소수의 청동기 등도 지석묘 하부에서 출토된 바 있다. 전남 우산리, 보성 덕치리, 여천 봉계동ㆍ적령동ㆍ평여동, 여수 오림동, 창원 덕천리, 대전 비래동 등지에서 변형 비파형동검이 나왔으며 황해남도 은천군 은천읍 약사동 지석묘에서 청동활촉, 그리고 속초 조양동에서는 부채꼴의 청동도끼 등의 출토사례가 보고되어 청동유물의 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지석묘의 중심연대가 청동기시대임을 입증하는 증거이다.
그러나 고인돌의 부장품을 대표할 수 있는 유물은 돌검과 화살촉으로 출토된 부장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살촉의 경우 ‘마름모꼴 슴베형’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마름모 납작 슴베형’과 긴 마름모형은 중부이남, 버들잎형은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중심으로 한 서부지방, 슴베 없는 세모꼴촉은 중
참고 자료
김원룡, 『한국고고학개설』일지사, 1986.
최몽룡외, 『한국 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 주류성, 2000.
하문식, 『고조선 지역의 고인돌 연구』, 백산자료원, 1999.
______, 『한국 청동기시대묘제에 관한 한 연구』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1990.
송석상외,『그림으로 배우는 우리의 문화유산』, 학연문화사, 2003.
이영문,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04.
유태용, 『한국지석묘연구』, 주류성, 2003.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북한의 역사만들기』,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3.
김광명, 「영남지방의 지석묘사회 예찰-대구ㆍ경산을 중심으로」『영남고고학33』, 영남고고학회, 2003.
______,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무덤과 제사」『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 영남고고학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