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정약용]정약용의 약력, 정약용의 경학사상, 정약용의 실학사상, 정약용의 교육사상, 정약용의 신분제도개혁사상, 정약용의 신민본주의사상, 정약용의 정치사상, 정약용의 경제사상, 정약용의 현대적 의의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7.06.22
- 최종 저작일
- 2007.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소개글
정약용의 약력, 정약용의 경학사상, 정약용의 실학사상, 정약용의 교육사상, 정약용의 신분제도개혁사상, 정약용의 신민본주의사상, 정약용의 정치사상, 정약용의 경제사상, 정약용의 현대적 의의 분석
목차
Ⅰ. 다산 정약용 약력
1. 수학시절(출생~1789, 28세)
2. 사환시절(1789~1800, 39세)
3. 유배생활(1801~1818, 57세)
4. 향거(鄕居)생활(1818~1836, 75세)
Ⅱ. 다산 정약용의 경학사상
1. 심성관
1) 기존의 성리학
2) 성
3) 심
4) 자주지권
2. 이기관
1) 우주관
2) 이
3) 기
3. 성경
4. 고증학
Ⅲ. 다산 정약용의 실학사상
Ⅳ.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
1. 효제자
2. 국학
3. 기예론
4. 아학편
Ⅴ. 다산 정약용의 사회신분제도 개혁사상
Ⅵ. 다산 정약용의 신민본주의 사상
1. 사회계약에 의한 국가․ 사회․통치자․법률의 성립
2. 백성의 천자․군주 교체권 승인
3. 아래로부터의 ꡐ순ꡑ과 위로부터의 ꡐ역ꡑ의 전치
4. 백성 대표에 의한 법률의 제정
5. 입헌군주제의 맹아
Ⅶ.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상
Ⅷ. 다산 정약용의 경제사상
Ⅸ. 다산 정약용 사상의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다산 정약용은 1762(영조38)년에 태어나 1836(헌종2)년에 세상을 떠났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친 조선조영조정조순조헌종의 기간이 그의 시대이다. 다산의 아명은 귀농(歸農)이며, 약용(若鏞)은 그의 관명이다. 그는 1762년에 현재의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당시의 광주 초부면 마현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載遠)은 진주목사를 지냈으나, 고조이후 삼대가 포의(布衣)로 세상을 떠나서 그의 집안은 당시로서는 권세와 가깝지 못하였다.
다산의 생애는 수학시절인 1789년(28세)까지, 사환시절인 1800년(39세)까지, 유배생활시절인 1818년(57세)까지, 그리고 1836년까지의 향기시절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권영락, 1997).
1. 수학시절(출생~1789, 28세)
다산은 15세 때에 장가를 들었고 이때 마침 부친이 호조좌랑의 벼슬을 하게 되어 서울로 올라가서 생활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에서는 이가환이 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었다. 다산의 매부인 이승훈도 이가환과 함께 열심히 성호 이익의 저서를 연구하였는데, 그들과 접촉하는 가운데서 다산은 성호의 저서들을 읽게 되었고 감수성이 많았던 이 시절의 다산은 그 영향을 많이 받았다(강석화, 1989: 176).
참고 자료
없음